학술논문
필름카메라를 이용한 사진치료활동이 지적장애아동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36
- 영문명
- The efect of the photo therapy activities using film cameras on self-esteem of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 발행기관
- 한국아동심리재활학회
- 저자명
- 간행물 정보
- 『놀이치료연구』놀이치료연구 제15권 제2호, 131~145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08.31
4,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Weiser(1999)의 사진치료기법에 자아존중프로그램을 접목시켜 재구성한 필름카메라를 이용한 사진치료활동이 지적장애아동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강원도 소재 C시 J리에 거주하는 지적장애학생 중 부모님과 학생 모두 사진치료활동에 참여를 희망하고, 지적장애 아동 선정 기준에 해당되는 4명을 대상으로 주 2회 총 21회기동안 필름카메라를 이용한 사진치료활동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양적·질적분석을 병행하였다. 연구결과 연구집단의 자아존중감은 유의하게 향상되었으며, 자아존중감 하위요인과 연구대상자 개인별 분석에서도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냈다. 또한, 회기별 관찰과 K-HTP 그림검사를 통해 긍정적인 자아상과 성장욕구를 갖게 되는 모습을 보이는 등 필름카메라를 이용한 사진치료활동이 지적장애아동의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치료를 활용한 다양한 프로그램이 교육현장에서 학생들의 발달단계에 맞게 운영된다면 그 효과는 더욱 클 것으로 기대된다.
영문 초록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 of the photo therapy activities to the self-esteem of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using film cameras reconstructed by connecting the self-esteem program to the Weiser's photo therapy technology(1999). The objects of this study are 4 children who meet the selection criteria for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live in J Li, C city of Kang Won Province, and hope, their parents too, to participate in the photo therapy program. The photo therapy activities using film cameras took place twice every week for total 21 sessions.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nalyses took place parallelly to verify the problems of this study. As a result, there were positive effects in self-esteem of the photo therapy group. Besides, the objects showed to have positive self images and growth desires through the observations per each session and K-HTP picture inspection. Collectively, it is shown that the photo therapy using film cameras increase self-esteem of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f various programs using film cameras are run in the education sites, adopted to the children's growth stages, the effect is expected to be even greater.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주의력결핍 과잉행동 경향으로 의뢰된 아동의 부모 양육태도 유형과 관련된 요인에 대한 연구
- 교수적 루브릭 참조 자기평가가 통합된 장애학생의 수업참여행동과 비장애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
- 피학대 가출아동의 모자상담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 부모 및 친구애착과 비행 간 관계
- 애착 문제로 내원한 아동의 모래놀이치료 사례연구
- 놀이치료에 나타난 적응전략과 갈등전략 사용 특징 분석: 아동의 특성에 기초하여
- 필름카메라를 이용한 사진치료활동이 지적장애아동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 간호대학생의 아동기 가정폭력경험, 아동기 학대피해경험 및 아동학대 심각성 인식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구원자 각본을 가진 20대 여성의 전화상담 사례연구: 교류분석(TA)상담기법을 중심으로
- 요양보호사의 감정노동이 서비스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암환자의 죽음 불안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