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부모 및 친구애착과 비행 간 관계
이용수 5
- 영문명
- The relationships between attachment to parents, attachment to friends, and adolescent delinquency : a longitudinal study
- 발행기관
- 한국아동심리재활학회
- 저자명
- 간행물 정보
- 『놀이치료연구』놀이치료연구 제15권 제2호, 21~30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08.3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부모애착 및 친구애착과 청소년 비행 간 관계는 그 동안 많은 연구들을 통해 다루어졌다. 그러나 지금까지 대부분의 국내연구들은 횡단자료를 사용하여 분석하였기 때문에 독립변인들의 시간적 우선성이 확보되지 못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부모애착과 친구애착이 청소년 비행에 미치는 인과적 영향을 종단자료를 사용하여 검증하고, 청소년 비행에 대한 부모애착과 친구애착의 상호작용을 탐색하였다. 종단자료는 2003년(시기 1)~2004년(시기 2)의 한국청소년패널조사(KYPS) 데이터를 사용하였다. 연구대상은 제주도를 제외한 전국의 3449명의 중학생(남학생 1725명, 여학생 1724명)으로서, 그들은 2003년에 중학교 2학년이었고, 2004년에는 중학교 3학년이 되었다.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애착은 1년 후 청소년 비행을 유의하게 낮춘 반면, 친구애착은 오히려 청소년 비행의 위험을 증가시켰다. 둘째, 청소년 비행에 대한 부모애착과 친구애착 간 상호작용은 부적으로 유의하여 부모의 애착정도가 낮을 때에만 친구애착이 1년 후의 청소년 비행에 영향을 주었다. 즉, 부모-자녀 간 관계의 질이 높을 경우 친구애착이 청소년 비행에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부모와의 애착이 충분치 못한 청소년들은 친구들에게서 더 의미있는 영향을 받음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e relationships between attachment to parents, attachment to friends, and adolescent delinquency have been issues that many researchers have paid attention. However, Most of them have been analyzed with cross-section data so far. This means that independent variables did not precedes dependent variables. Therefore,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s between parents attachment, friends attachment, and adolescent delinquency with longitudinal design. Data were selected from 2003(wave 1)-2004(wave 2) KYPS. Participants were 3449 middle school students(1725 boys, 1724 girls). Hierarchical regression revealed that: (1) attachment to parents negatively influenced adolescent delinquency, while attachment to friends positively influenced their delinquency. (2) a mild moderating effect of parents attachment: only when parents attachment is low, friends attachment positively influenced after a year adolescent delinquency. This result suggest that friends are more significant among adolescents who are not sufficiently served attachment from their parent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주의력결핍 과잉행동 경향으로 의뢰된 아동의 부모 양육태도 유형과 관련된 요인에 대한 연구
- 교수적 루브릭 참조 자기평가가 통합된 장애학생의 수업참여행동과 비장애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
- 피학대 가출아동의 모자상담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 부모 및 친구애착과 비행 간 관계
- 애착 문제로 내원한 아동의 모래놀이치료 사례연구
- 놀이치료에 나타난 적응전략과 갈등전략 사용 특징 분석: 아동의 특성에 기초하여
- 필름카메라를 이용한 사진치료활동이 지적장애아동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 간호대학생의 아동기 가정폭력경험, 아동기 학대피해경험 및 아동학대 심각성 인식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구원자 각본을 가진 20대 여성의 전화상담 사례연구: 교류분석(TA)상담기법을 중심으로
- 요양보호사의 감정노동이 서비스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암환자의 죽음 불안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