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피학대 가출아동의 모자상담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이용수  8

영문명
A qualitative case study on mother-child counseling for an abused runaway child
발행기관
한국아동심리재활학회
저자명
간행물 정보
『놀이치료연구』놀이치료연구 제15권 제2호, 75~96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심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1.08.31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사례의 아동은 상습적 가출로 인하여 아동상담시설에 입소하였으며 10회기까지 치료적 진전은 거의 없었고 시설에 부적응하여 4회의 무단이탈을 하였다. 치료자는 11회기부터 모자상담을 시도하였는데, 이때부터 아동이 자신의 정서와 생각을 표현하였고 동시에 아동에 대한 모의 양육적 태도도 적극적으로 변화하였다. 가출아동의 치료에서 가족 및 부모개입은 매우 중요한 부분이지만 현실적으로 어렵거나 불가능한 경우가 많다. 그러나 본 사례는 가출아동의 치료과정에서 모자상담을 시도하여 부모개입의 중요성을 확인하고 아동과 모의 적극적인 변화를 확인하였다. 본 사례연구는 모자상담 회기를 중심으로 학대로 인해 가출하는 아동의 특성 및 과정을 살펴보았고 치료적 개입과 효과성을 분석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mploys the qualitative methods to explicate a chronic runaway child admitted to a child guidance center. The child was found with the issue of maladjustment during ten sessions of counseling, which was four times he ran away from the child center. Upon his showing signs and no progress on the prior ten sessions of counseling, the counselor had the Mother-Child counseling from 11th counseling session. This method helped for the child to express his own thoughts and emotions to the counselor and mother. It caused also the mother’s attitude on the child toward the positive relationship, who was abused by his own parents. In the sessions of Mother-Child counseling, “Therapeutic Invention,” the child expressed his inner hiding pains and emotions on his family, and it helped for the mother to heal her own issues on the child. Thus, it is one of most important factors in healing processing for the runaway child cases. However, in reality it is not easy to have this successful story in all cases due to the circumstance of the difficult relationship among family members and family situation. Despite of these difficulties in reality, the results of the Mother-Child counseling, “Therapeutic Invention,” provides one of good insights on the particular runaway child case in terms of maintaining the positive changes in the relationship and attitudes. Therefore, in this study, the researcher has analyzed the characters of the runaway child and his processes of the runaway and has studied the therapeutic effectiveness of Mother-Child counseling session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 (2011).피학대 가출아동의 모자상담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놀이치료연구, 15 (2), 75-96

MLA

. "피학대 가출아동의 모자상담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놀이치료연구, 15.2(2011): 75-9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