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유아의 최초 스마트폰 사용연령과 이용정도가 문제행동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42
- 영문명
- The effects of age of first smartphone use and length of time spending smartphone use at the time of the first smartphone usage on the preschoolers’ behavior problems : Longitudinal study from 4 to 6 years of age
- 발행기관
- 한국아동심리재활학회
- 저자명
- 남수미(Su-mi Nam) 하은혜(Eun-Hye Ha)
- 간행물 정보
- 『놀이치료연구』놀이치료연구 제22권 제2호, 55~68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8.31
4,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study attempted to identify the effects of age of the first smartphone use and length of the time of first smartphone use on preschoolers’ behavior problem. To analyze the effect, latent growth model was adapted to KICCE’s data (2012∼2014), assessed 432, aged 4, 5, 6 years old. The result showed as below. First the trajectories of behavior problem was identified negatively by the time. It means hat the higher the first behavior problem is, the less rate of slop is. Second, the length of time spending of the first smartphone use influenced intercept and slope of the behavior problem, whereas the age of the first smartphone use only influenced slope. As a result, it is harmful to spend long hours at the first time of using smartphone on slope of the behavior problems. And when the age at first smartphone use was so young, it has negative impact on preschoolers’ slope of the behavior problems, as time goes by.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논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구원자 각본을 가진 20대 여성의 전화상담 사례연구: 교류분석(TA)상담기법을 중심으로
- 요양보호사의 감정노동이 서비스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암환자의 죽음 불안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