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초심 놀이치료자들의 집단 슈퍼비전 및 기술훈련 집단 경험에 대한 연구
이용수 25
- 영문명
- A study on group supervision and play therapy skill training group experience of play therapists in-training: Focused on the experience of school play therapy
- 발행기관
- 한국아동심리재활학회
- 저자명
- 박현아(Hyun-ah Park) 류승민(Seung-min Ryu) 유미숙(Mee-sook Yoo)
- 간행물 정보
- 『놀이치료연구』놀이치료연구 제22권 제2호, 85~112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8.31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guide to systematic professional training of play therapists in-training by examining what play therapists in-training experience in school play therapy on-the-job training, group supervision and counseling skill training group and how they grow. The group supervision was divided into pre-support and course support program, and the course support program was sub-divided into a group supervision led by the professor and a playtherapy skill training group led by the doctoral students. A focus group interview was utilized, and six play therapists in-training were recruited. Colaizzi phenomenological approach was utilized to gather, analyze and report the findings from the study. The analyses included thirteen themes and four theme clusters. Four theme clusters included: (1) I need more preparation to stand alone. (2) Struggling in the field too different from what I learned. (3) Build a pillar as ‘a therapist’ through group supervision. (4) On-the-job training and group supervision experience become ‘Asset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provided the basis for systematic training of play therapists in-training.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구원자 각본을 가진 20대 여성의 전화상담 사례연구: 교류분석(TA)상담기법을 중심으로
- 요양보호사의 감정노동이 서비스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암환자의 죽음 불안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