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대학생의 부모애착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자아정체감의 매개효과
이용수 109
- 영문명
- The Effect of Parent Attachment on Life Satisfaction of University Students - the mediation of self-identity
- 발행기관
- 한국동서정신과학회
- 저자명
- 간행물 정보
- 『동서정신과학』제25권 제1호, 39~52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5.31
4,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부모애착과 자아정체감이 삶의 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부모애착과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 자아정체감이 매개역할을 하는지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서 대학생 남자 91명(20.7%), 여자 339명(77.2%)의 430명을 대상으로 부모애착, 삶의 만족도 및 자아정체감을 측정하였다. 그리고 빈도분석, 상관분석 회귀분석, 및 부트스트랫핑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부모애착이 높을수록 삶의 만족도는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아정체감 역시 삶의 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그리고 자아정체감은 부모애착과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 유의미한 부분매개 역할을 하였다.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부모애착의 영향력을 실증적으로 확인하였으며, 더불어 부모애착을 통해 일관성을 가진 자기개념인 자아정체감을 가짐으로써 삶의 만족도를 향상시킨다는 점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college students parent attachment and self-identity affect life satisfaction, and whether self-identity plays a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attachment and life satisfaction. To this end, 430 people, 91 male students (20.7%) and 339 female students (77.2%), were measured for parental attachment, life satisfaction, and self-identity. Data analysis was performed by frequenc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and bootstrapping.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the parent attachment, the higher the life satisfaction. In addition, self-identity also had a significant effect on life satisfaction. And self-identity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 attachment and life satisfaction. This study empirically confirmed the influence of parent attachment in college students, and discussed that life satisfaction is improved by having a sense of self-identity, a consistent self-concept through parent attachment.
목차
연구 방법
결 과
논 의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대학생의 자아분화 수준이 진로태도성숙에 미치는 영향 - 그릿(Grit)의 조절효과
- 대학생의 성장 마인드셋과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서 그릿의 매개효과
- 대학생의 부모애착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자아정체감의 매개효과
- 중독자의 심리와 회복에 대한 영성의 역할 - 호흡과 자기사랑을 중심으로
- 두 여성 상담자가 상담실에서 경험한 차별과 억압에 대한 협력적 자문화기술지
- 중년여성의 인간중심 집단미술치료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들뢰즈의 차이의 철학 - 강도량의 중심으로
- 학교 밖 청소년의 학업중단 관련 정서와 진로장애의 관계에서 부모애착의 매개효과
- 초심상담자의 내적 진로결정동기가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 - 상담자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구원자 각본을 가진 20대 여성의 전화상담 사례연구: 교류분석(TA)상담기법을 중심으로
- 요양보호사의 감정노동이 서비스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암환자의 죽음 불안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