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초심상담자의 내적 진로결정동기가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 - 상담자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이용수 240
- 영문명
- The Effects of Novice Counselor’s Inner Career Decision-Making Motivation on Psychological Burnout - Mediating Effects of Counselor Self-Efficacy
- 발행기관
- 한국동서정신과학회
- 저자명
- 간행물 정보
- 『동서정신과학』제25권 제1호, 19~38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5.31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초심상담자를 대상으로 심리적 소진을 예방하기 위한 목적으로 진로결정동기와 심리적 소진 및 상담자 자기효능감의 관계를 밝히고, 상담자 자기효능감이 매개하는 지를 확인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본 연구는 광주·전남북소재 대학원 10곳에 재학 중인 상담전공 석사 대학원생들과 상담현장에 있는 상담경력 3년 미만 상담사 225명을 대상으로 진로결정동기 척도, 한국판 상담자 소진 척도, 자기효능감 척도를 사용하여 설문조사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통계 프로그램 R을 사용하였으며, 구조방정식 모형 검증을 위하여 ‘lavaan’패키지를 활용하였다. 주요 결과는 첫째, 내적 진로결정동기와 심리적 소진은 부적으로 상관되어 있으며, 둘째, 내적 진로결정동기와 자기효능감과는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셋째, 상담자 자기효능감과 심리적 소진은 유의미한 부적 상관이 발견되었다. 넷째, 상담자 자기효능감이 내적 진로결정동기와 상담자 심리적 소진의 관계에서 부분 매개 효과가 나타났다. 끝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에 포함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decision-making motivation, psychological burnout and counselor self-efficacy for preventing psychological burnout among novice counselors and to verify whether counselor self-efficacy mediates. This study was conducted 225 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counseling and counselors with less than 3 years of counseling experience in the counseling field by using career decision-making motivation scale, korean Burnout Inventory, and self-efficacy scale. For analysis, statistical program R was used and the lavaan package was used to verify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ternal career decision-making motivation and counselor s psychological burnout were negatively correlated. Second, internal career decision-making motivation and self-efficacy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Third, counselor self-efficacy and counselor psychological burnout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Fourth, counselor self-efficacy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al career decision-making motivation and counselor psychological burnout.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discussed the significance, limitations and suggestions of this study.
목차
방 법
분 석
결 과
결론 및 논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대학생의 자아분화 수준이 진로태도성숙에 미치는 영향 - 그릿(Grit)의 조절효과
- 대학생의 성장 마인드셋과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서 그릿의 매개효과
- 대학생의 부모애착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자아정체감의 매개효과
- 중독자의 심리와 회복에 대한 영성의 역할 - 호흡과 자기사랑을 중심으로
- 두 여성 상담자가 상담실에서 경험한 차별과 억압에 대한 협력적 자문화기술지
- 중년여성의 인간중심 집단미술치료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들뢰즈의 차이의 철학 - 강도량의 중심으로
- 학교 밖 청소년의 학업중단 관련 정서와 진로장애의 관계에서 부모애착의 매개효과
- 초심상담자의 내적 진로결정동기가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 - 상담자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구원자 각본을 가진 20대 여성의 전화상담 사례연구: 교류분석(TA)상담기법을 중심으로
- 요양보호사의 감정노동이 서비스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암환자의 죽음 불안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