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유아교육기관의 교실환경과 교수효능감이 유아의 학교준비도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 유능감의 매개효과 -
이용수 392
- 영문명
- The effects of preschool’s classroom environment and teaching efficacy on the school readiness of children - mediating effects of social competence -
- 발행기관
- 한국영유아교육지원학회
- 저자명
- 정슬기(Jeong, Seul Gi)
- 간행물 정보
- 『영유아교육지원연구』제7권 제1호, 75~97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4.30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육기관의 교실환경과 교사의 교수효능감,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과 학교준비도 간의 구조적 관계를 살펴보고, 교실환경과 교수효능감, 유아의 학교준비도 관계에서 사회적 유능감의 매개효과를 알아보는데 있다. 이를 위해 육아정책연구소(KICE)에서 제공한 한국아동패널 7차년도(2014년)의 자료를 사용하였으며, 총 1,125명의 유아와 그들의 담임교사를 대상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방법은 SPSS 23.0과 AMOS 22.0을 사용하여 기술통계분석, 상관관계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구조모형분석, 경로 분석을 하였다. 이에 대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실환경과 교수효능감은 유아의 학교준비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실환경은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교수효능감은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실환경과 교수효능감 각각은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을 매개로 하여 학교준비도에 유의한 간접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회적 유능감은 각 관계에서 완전매개효과를 보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the classroom environ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teachers teaching efficacy, and children s school readiness and social competence. For this purpose, the data from the 7th year (2014) of the Korean Children s Panel provided by the Childcare Policy Research Institute (KICCE) was used, and a total of 1,125 child and their homeroom teachers were
analyzed. For the analysis method,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structural model analysis, and path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SPSS 23.0 and AMOS 22.0.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classroom environment and teaching effectiveness did not directly affect children s learning readiness. Second, the classroom environment did not
appear to have an effect on the social competence of young children, but teaching efficacy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social competence of young children. Third, each of the classroom environment and teaching efficacy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indirect effect on learning readiness by mediating the social competence of children, and social competence showed a complete mediating effect in each relationship.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