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2019개정 누리과정에 대한 어린이집 원장의 인식과 적용 차이 -코로나19 팬데믹 사태 2년을 맞아-*
이용수 157
- 영문명
- Differences in perception and application of child care center directors for the 2019 revised nuri course -2 years into the era of the covid-19 pandemic-
- 발행기관
- 한국영유아교육지원학회
- 저자명
- 이종남(Lee, Joung Nam) 김영은(Kim, Young Eun)
- 간행물 정보
- 『영유아교육지원연구』제7권 제1호, 1~16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4.30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코로나19 팬데믹 사태 2년을 맞아 어린이집에서 2019개정 누리과정이 안정화를 이루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어린이집 원장의 2019개정 누리과정 인식과 적용 수준을 재점검하였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경상남도 K시 지역에서 어린이집 원장 직무교육에 참여한 50명의 원장이며 자료의 분석 방법은 SPSS 25.0(ver.)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하여 평균과 표준편차를 살펴보았다. 또한, 어린이집 원장의 배경 변인에 따른 차이를 파악하기 위하여 다변량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5점 리커트 척도를 이용할 때, 원장의 인식과 적용 수준에서 차이가 있었다. 둘째, 기관유형, 학력, 경력에 따라 인식과 적용 수준에서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2019개정 누리과정이 어린이집에서 안정적으로 운영하는데 본 연구가 기초자료를 제공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so that the 2019 revised Nuri course can be carried out stability in child care centers. To this end, in the second year of the COVID-19 pandemic, the director of the child care center re-examined the awareness and implementation level of the 2019 revised Nuri course.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50 principals who participated in the job training for child care center directors in K city, Gyeongsangnam-do. In addition, one-way ANOVA was performed to identify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background variables of the child care center director. As a result, first, when using the 5-point Likert scale,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the perception and performance level of the child care director. Second,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awareness and execution level according to the type of institution, educational background, and career of the director of the child care center.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to raise the level of execution of the curriculum so that the 2019 revised Nuri course can be operated stability.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학습지원대상학생 및 장애 학생 교육을 위한 인공지능 활용에 대한 초등교사의 경험
- 읽기장애 조기 진단을 위한 AI 기반 인지진단모형(Cognitive Diagnostic Model) 연구
- 경계선급 지적 기능 고등학생의 진로 및 진학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