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부적응적 자기초점주의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과 거부민감성의 매개효과
이용수 22
- 영문명
- The Effect of Dispositional Self-focused Attention on Depression in Upper-elementary-school Students: The Mediating Role of Rejection Sensitivity
- 발행기관
- 한국생애학회
- 저자명
- 박지영(Ji Yeong Park) 박주희(Ju Hee Park)
- 간행물 정보
- 『생애학회지』생애학회지 제9권 제2호, 69~84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6.30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 of rejection sensitiv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ispositional self-focused attention and depression in upper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501 elementary students (245 boys and 256 girls) aged 10 to 12 years who enrolled in eight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Seoul, Incheon and Gyeong-gi province. To measure the research variables, the Children’s Depression Inventory, the Scale for Dispositional Self-focused Attention Social situation(Lee & Kwon, 2005), and the Children’s Rejection Sensitivity Questionnaire were used. Also,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was used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model.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levels of dispositional self-focused attention and the rejection sensitivity both increased the level of students’ depression. Second, the rejection sensitivity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dispositional self-focused attention and depression. In conclusion, the higher the level of dispositional self-focused attention, the higher the level of rejection sensitivity, and consequently, the higher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depression.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reducing the level of dispositional self-focused attention and rejection sensitivity would play a significant role in alleviating their depression.
목차
I. 서론
II. 연구방법
III. 결과분석
IV.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첫 자녀의 연령에 따른 맞벌이 부부의 가족 내 행위별 사용시간비율 및 관련 요인
- 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과 행복감이 역할수행에 미치는 영향
- 중학생 자녀를 둔 중년기 어머니의 자기 이해를 통한 부모성장 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
- 영아가 경험하는 숲체험놀이의 의미
- 균형적 시간관이 대학생의 궁극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 홍콩 출신 유학생들의 한국어 학습에 대한 생애사적 연구
-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부적응적 자기초점주의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과 거부민감성의 매개효과
- 저소득층 독거노인과 독거노인생활관리사의 돌봄 관계 경험
- 스토리텔링 유아교육 연구동향 분석
- 대학생의 자기개념 명확성과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 지역사회거주 양육 미혼모의 삶의 경험에 관한 연구
- 생애학회지의 연구동향 분석
- Deleuze 철학을 바탕으로 영유아와 멀티미디어 내부작용 바라보기
- 보육교사의 배려적 사고가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분야 NEW
- 외식 소셜미디어에 대한 지각된 가치가 지식공유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커피산업 종사자의 자기주도 직무재구성이 직무만족, 직무열의,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 네이버플레이스 외식 정보처리 과정에 관한 연구: 이중처리과정 이론(Dual Process Theory) 적용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