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보육교사들의 질 높은 교사-영유아 간 상호작용 수행을 위한 반성적 사고 경험에 관한 연구
이용수 29
- 영문명
- A Study on the Reflective Thinking Experiences of Child Care Teachers for Implementing High Quality Teacher-Child Interaction
- 발행기관
- 한국생애학회
- 저자명
- 김수정(Soo Jung Kim) 이민주(Min Joo Lee) 이영신(Young Shin Lee)
- 간행물 정보
- 『생애학회지』생애학회지 제8권 제3호, 51~73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10.31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various ways teachers have experienced three types of reflective thinking to form the practical knowledge needed to carry out high-quality teacher-child interactions with child care teachers who work at day care centers. For this purpose, 20 child care teachers at day care centers located in Seoul, Gyeonggi, and Daejeon were selected. Based on their career experiences, the teachers were divided into five focus groups. Interview data was analyzed after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these five group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child care teachers have used various methods to experience the three types of reflective thinking processes proposed by Killion and Todnerm (1991): reflective thinking for high-quality teacher-child interactions, reflective thinking in the practice of high-quality teacher–child interaction, and reflective thinking about high-quality teacher-child interac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reaffirm the results of previous research that it is necessary to make active use of interactive images to support child care teachers to have reflective thinking about the teachers-child interaction Furthermore, the need to provide several forms of reflective thinking opportunities in the growth process of child care teachers was suggested.
목차
I. 서론
II. 연구방법
III. 연구 결과 및 해석
IV.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학교현장실습 전․후 예비유아교사의 교사자질에 대한 생각의 변화
- 가구의 경제적 스트레스와 생활만족도의 관계에서 주관적 계층의식의 역할
- 부적응 유아 행동지도를 위한 협력적 멘토링을 경험한 유아교사의 변화
- 플립 러닝을 활용한 수업이 예비보육교사의 셀프리더십과 학습동기에 미치는 효과
- 중년기의 노화불안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과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
- 영아기 기질적 활동성과 아버지의 양육참여가 유아기 또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 보육교사들의 질 높은 교사-영유아 간 상호작용 수행을 위한 반성적 사고 경험에 관한 연구
- 중증장애인부부의 결혼생활경험에 대한 생애사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분야 BEST
더보기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분야 NEW
- 온라인 텍스트 데이터를 활용한 집밥의 인식 변화 연구: 코로나19를 중심으로
- 식품업체의 ESG 경영활동과 기업이미지 및 지속 이용의도와의 영향 관계 연구
- 얌빈 가루를 첨가한 연어스프레드의 품질특성: 혼합물 실험법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