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중증장애인부부의 결혼생활경험에 대한 생애사 연구
이용수 24
- 영문명
- Marriage Experiences of Severely Disabled Couple - Based on a Biographical Research
- 발행기관
- 한국생애학회
- 저자명
- 양아영(Ah Yeong Yang) 권연희(Yeon Hee Kwon)
- 간행물 정보
- 『생애학회지』생애학회지 제8권 제3호, 137~158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10.31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arriage experiences of the severely disabled couple. The qualitative research, expecially biographical methodology approach was adopted to analyze the severely disabled couple’s marriage life. Participants were two pairs of severly disabled couples who have been married for more than 10 years. Interviews with the participants were conducted 5 to 6 times per participant, 2 to 3 hours per session in the welfare center program room and their home. Three questions based on the biographical analysis framework of Mandelbaum(1973) were studied. As results, in the marriage experience of severely disabled couple, the area of life was derived from ‘religion’, ‘social services’, ‘poverty’, ‘social relations’ and ‘individual activities’. Turning point of marriage came out as ‘spousal selection depend on pity each other’, ‘childbirth and parenting’, ‘meeting the need for relationship’, ‘policy improvement’. Finally, adaptation showed ‘thank you now’, ‘embrace me and my spouse’, and ‘going one step further’. Understanding of spouse disability led to gratitude of life and marital satisfaction. There has been an attempt to solve various disillusions that have been abandoned due to disability since middle age, and actively participate in social activities, such as arts and cultural educations. Based on these results, some implications for the practical understanding and supporting directions were discussed.
목차
I. 서론
II. 연구방법
III. 연구 결과
IV.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학교현장실습 전․후 예비유아교사의 교사자질에 대한 생각의 변화
- 가구의 경제적 스트레스와 생활만족도의 관계에서 주관적 계층의식의 역할
- 부적응 유아 행동지도를 위한 협력적 멘토링을 경험한 유아교사의 변화
- 플립 러닝을 활용한 수업이 예비보육교사의 셀프리더십과 학습동기에 미치는 효과
- 중년기의 노화불안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과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
- 영아기 기질적 활동성과 아버지의 양육참여가 유아기 또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 보육교사들의 질 높은 교사-영유아 간 상호작용 수행을 위한 반성적 사고 경험에 관한 연구
- 중증장애인부부의 결혼생활경험에 대한 생애사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분야 BEST
더보기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분야 NEW
- 온라인 텍스트 데이터를 활용한 집밥의 인식 변화 연구: 코로나19를 중심으로
- 식품업체의 ESG 경영활동과 기업이미지 및 지속 이용의도와의 영향 관계 연구
- 얌빈 가루를 첨가한 연어스프레드의 품질특성: 혼합물 실험법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