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플립 러닝을 활용한 수업이 예비보육교사의 셀프리더십과 학습동기에 미치는 효과
이용수 2
- 영문명
- The Effect of Flipped Learning Instruction Method on Self-Leadership and Learning Motivation of Pre-service Child Care Teachers
- 발행기관
- 한국생애학회
- 저자명
- 심윤희(Yun Hee Sim)
- 간행물 정보
- 『생애학회지』생애학회지 제8권 제3호, 75~97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10.31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flipped learning for early child care instruction on self-leadership and learning motivation of pre-service child care teachers. The subjects were 54 undergraduate students who major in early child care education related field. Twenty-eight participated in a course, ‘Guidance for Young Children’, where flipped learning instruction was applied, and the comparison group(28 participants) attended a traditional lecture for one semester. Survey on self-leadership and learning motivation was conducted during the 1st and the 15th week and an in-depth interview with 8 subjects from the experimental group, who voluntarily agreed to participate, was conducted. T-test and open coding was used to analyze the data.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flipped learning instruc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pre-service teachers’ self-leadership. Second, flipped learning instruction showed positive effect on pre-service teachers’ learning motivation. Among the sub scales, there were positive effects on attention, relativeness, and atisfaction. Third, pre-service teachers could actively participate in learning and also focus on learning through process-based flipped instruction strategy. The flipped class experience motivated the teachers to hold initiative in improving work capacity and also helped regulate their thoughts and behaviors. In conclusion, flipped learning instruction applied course provided pre-service teachers with learning motivation and reinforced their competence as self-leaders.
목차
I. 서론
II. 연구방법
III. 연구 결과 및 해석
IV.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학교현장실습 전․후 예비유아교사의 교사자질에 대한 생각의 변화
- 가구의 경제적 스트레스와 생활만족도의 관계에서 주관적 계층의식의 역할
- 부적응 유아 행동지도를 위한 협력적 멘토링을 경험한 유아교사의 변화
- 플립 러닝을 활용한 수업이 예비보육교사의 셀프리더십과 학습동기에 미치는 효과
- 중년기의 노화불안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과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
- 영아기 기질적 활동성과 아버지의 양육참여가 유아기 또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 보육교사들의 질 높은 교사-영유아 간 상호작용 수행을 위한 반성적 사고 경험에 관한 연구
- 중증장애인부부의 결혼생활경험에 대한 생애사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분야 BEST
더보기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분야 NEW
- 온라인 텍스트 데이터를 활용한 집밥의 인식 변화 연구: 코로나19를 중심으로
- 식품업체의 ESG 경영활동과 기업이미지 및 지속 이용의도와의 영향 관계 연구
- 얌빈 가루를 첨가한 연어스프레드의 품질특성: 혼합물 실험법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