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조왕신앙 측면에서의 불 상징 고찰
이용수 124
- 영문명
- Fire Symbol of Faith in Jowang (god of Kitchen)
- 발행기관
- (사)한국학교공공모래놀이학회
- 저자명
- 곽현정(Hyeon-Jeong Kwak) 한길자(Gil-Ja Han)
- 간행물 정보
- 『심리상담 및 모래놀이치료(구 학교상담 및 모래놀이)』학교상담 및 모래놀이 제3권 제1호, 50~65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6.30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불(火)은 부정한 것을 깨끗하게 하며 사악함, 부정, 부패 등 모든 것을 태우는 정화성으로 인류의 역사 속에서 경외의 대상이 되었으며 신성시되었다. 본 연구는 한국, 일본, 중국의 조왕신앙에 나타난 불신의 모습과 불의 상징을 살펴보고, 모래놀이치료 상황에 나타난 불의 상징성을 분석심리학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한국, 일본, 중국에서 불신(火神)인 조왕(竈王)의 명칭과 가신(家神)으로서의 위치는 달랐다. 반면 조왕(竈王)은 가신(家神)으로 섬김을 받으며 일상생활에서 사람들과 가장 밀접한 신(神)으로 가족들의 안위와 아이들을 돌보며 수명과 복을 관장하는 신으로 오랜 시간 섬김을 받는 신앙의 대상이라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불이 사람의 감정 상태와 결합이 되면 심화(心火)가 된다. 심화(心火)는 마음속에서 조절되지 않는 성난 불(Complex, 火)로 공격적이고 파괴적이며 우울증이 되고 화병이 된다. 모래놀이치료 상자에 나타난 불의 변환을 통해 내담자의 부정적 콤플렉스가 변환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영문 초록
Fire has been an object of great reverence and been sacred in human history because it is regarded as having purification to burn wickedness, injustice, and corruption and cleansing filthy things. This study explores fire god and fire symbol shown in Korean, Japanese, and Chinese faith in Jowang (God of kitchen), and examines fire symbolism appeared in sandtray in the perspective of analytical psychology. Jowang, or fire god, has a different name, and house guardian deities have a different place in Korea, Japan, and China. Jowang has long been served as a house guardian deity who is closest to people in everyday life, taking care of family s safety and children, and managing lifespan and luck. When a fire is combined with emotional state of person, it becomes simhwa or wrath burning inside. Simhwa is an enraged fire (complex) which is not able to be managed. It is aggressive and destructive, and becomes depression and hwa-byung. Transformation of fire displayed in sandplay therapy shows that a negative complex of client had been transformed.
목차
본론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후천적 시각장애인의 예술심리치료 단일사례연구
- 청소년 주제통각검사(TAT-A) 자기보고식 프로토콜 기반 카드당김효과 분석
- 플레이백 씨어터를 통한 공동체적 대화가 참여자들의 사회적 유대감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