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지적장애 아동 및 청소년을 위한 실행기능향상 애플리케이션 ‘YESS’의 효과성 검증
이용수 285
- 영문명
- Efficacy of YESS Program in Improving Executive Function for Children and Adolescent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A preliminary research based on school training
- 발행기관
- 한국재활심리학회
- 저자명
- 장혜연(Jang, Hyeyeon) 정경미(Chung, Kyongmee)
- 간행물 정보
- 『재활심리연구』제29권 제1호, 1~24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3.30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지적장애(Intellectual Disability)로 진단된 아동·청소년은 작업기억, 계획력, 억제력 및 인지적 유연성을 포함한 실행기능에 상당한 결함을 보이며, 이는 일상생활, 학업, 대인관계 등 다양한 적응영역에서의 어려움을 초래한다. 본 연구에서는 지적장애 아동·청소년의 실행기능 향상을 위한 앱 기반 훈련 프로그램 ’YESS’를 개발하고, 학교 세팅에서 진행되는 훈련이 실행기능 향상에 효과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연구 참가기준을 충족한 42명의 아동·청소년을 훈련집단과 대기집단에 무선할당 하고, 약 55일 동안 학교에서 앱 기반 훈련을 실시하였다. 훈련 전후로 아동의 4가지 실행기능 영역을 측정하는 인지검사와 부모와 교사를 대상으로 부모 양육스트레스, 건강관련 삶의 질, 집행기능 곤란, 교사 직무 스트레스를 평가하는 자기보고식 설문지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훈련 후 훈련집단이 대기집단에 비해 계획력 과제 수행이 유의미하게 증가하였고 교사가 보고한 직무소진에서 유의미한 감소를 나타냈다. 한편, 다른 3 영역의 아동 인지과제와 부모 및 교사 설문에서는 유의미한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앱 기반 실행기능 훈련 효과성에 대한 연구적 함의와 함께 본 연구의 한계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Most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ID) have problems with executive functioning(EF), resulting in barriers for working memory, planning, inhibition, and cognitive flexibility. A randomized control trial with 42 children with ID was conducted to assess the efficacy of the Yonsei Executive Function Training System for Special Kids (YESS). In addition, four domains of subjective well-being among parents and teachers were assessed using self-reported questionnaire. The result indicated that the trial groups showed a significantly increased in planning as compared to, the waiting groups whereas their teachers reported a significant decrease in job burnout. However, no significant changes were observed in the other three domains of cognitive tasks.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dicussed.
목차
방 법
결 과
논 의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교류분석 독서치료 프로그램이 독거노인의 인생태도, 우울, 자아통합에 미치는 효과
- 구원자 각본을 가진 20대 여성의 전화상담 사례연구: 교류분석(TA)상담기법을 중심으로
- 고등학생의 상대적 행복감과 삶의 만족도: 스마트폰 의존 및 우울의 조절된 매개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