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주류문화의 비판적 논점과 타자존중의 다문화교육 - 레비나스의 타자성의 철학을 중심으로 -
이용수 563
- 영문명
- Criticism of mainstream culture and multicultural education centered on others – Focusing on Levinas’philosophy of otherness -
- 발행기관
- 교육종합연구원
- 저자명
- 노상우(Ro, Sang Woo) 황혜연(Whang, Hey Yeon) 이진복(Lee, Jin Bok)
- 간행물 정보
- 『교육종합연구』제20권 제1호, 181~205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3.31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다문화사회가 보편화되고 있는 상황 속에서 다문화교육의 본질을 이해하기 위한 철학적 접근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먼저 주류 문화중심의 동화주의적 시각, 포스트 식민주의 성격의 문제, 신자유주의적 세계시민주의의 한계에 대한 비판적 문제제기를 국내외 연구들을 통해 살펴보았다. 두 번째는 주류문화로부터 배제되고 소외되고 있는 소수문화에 대한 존중과 배려를 주창하는 레비나스의 타자성의 철학을 통해 타자존중의 교육원리를 제시하고 그것의 다문화 교육의 철학적 가능성을 탐색하였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타자존중의 다문화교육의 구체적인 실천방안으로 대화적 교육방식과 책임의 교육원리, 그리고 타자 지향적 다문화교사상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는 다문화교육에 대한 철학적 접근을 통해 그동안 축적되어 온 다문화교육의 내용과 방법을 새롭게 검토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영문 초록
In a situation where a multicultural society is becoming more common, a philosophical approach is required to understand the nature of multicultural education. Therefore, in this study, we first looked at raising critical issues about the assimilationist perspective centered on mainstream culture in domestic and foreign studies, the problem of postcolonialism, and the limitations of neoliberal global citizenship. The second was to present the educational principle of respect for others through Levinas’philosophy of others, advocating respect and consideration for minority cultures excluded and alienated from mainstream culture, and to explore the philosophical possibility of multicultural education. And finally as a concrete practical way of multicultural education with respect for others, the educational principles of conversational education method, the principle of responsibility education, and the multicultural teachers’ model oriented toward others were presented. This study will serve as an opportunity to newly review the contents and methods of multicultural education that have been accumulated through a philosophical approach to multicultural education.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다문화 교육에서 극복해야 할 세 가지 시각
Ⅲ. 타자존중의 다문화교육철학
Ⅳ. 마치는 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초등학교 교사의 장애학생 지도 경험과 인식에 관한 질적 연구
- 주류문화의 비판적 논점과 타자존중의 다문화교육 - 레비나스의 타자성의 철학을 중심으로 -
- 대학생 또래상담자의 상담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외국인 유학생들의 대학몰입 프로파일 분석: 사람중심 접근법을 중심으로
-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 양육태도, 교사애착관계, 학업성취, 학업무기력의 관계 : 중학교 1학년을 중심으로
- 중국 중등학교 교사의 정보기술 리더십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서 교사효능감과 커뮤니케이션 능력의 매개효과
- 부모의 진로 기대와 자녀의 진로 결정의 일치도에 대한 영향요인 분석
- 전북지역 고등학생이 인식한 학교적응과 세계시민의식의 관계에 대한 다문화인식 및 다문화수용성의 매개효과
- 플립러닝에서 대학핵심역량 향상과 학습경험의 인식 연구
- 교육분야에서 기본소득의 필요성과 구현방안
- 대학생 학업부진 및 극복 영향 요인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그림책 속 할아버지의 의미 분석
- 그림책의 글 텍스트 유무에 따른 4, 5세 유아의 읽기 반응 연구 -Mark Janssen의「Island」작품을 중심으로-
- 대화식 그림책 읽기를 통한 엄마와 만 2세 영아의 상호작용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