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전문대학과 기초지방자치단체 간 연계・협력사업 구축 전략에 대한 현장 전문가들의 관점 탐색 연구
이용수 134
- 영문명
- Linkage and Cooperation Strategies between Community College and Local Governments: Focusing on Experts and Officials with Experience in Carrying out related Projects
- 발행기관
- 한국직업교육학회
- 저자명
- 장덕호(Deokho Jang) 김효선(Hyosun Kim)
- 간행물 정보
- 『직업교육연구』제41권 제1호, 89~113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2.28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전문대학과 기초지방자치단체 간 연계・협력을 위한 관련 사업기획의 과정에서 대두되는 핵심적인 이슈들을 발굴하고 이와 연관된 문제점을 심도 있게 파악하여 향후 기초지방자치단체와 연계하여 지역 기반 전문대학 활성화를 위한 혁신 전략이 무엇인가를 탐색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관련한 사업을 수행한 경험이 있는 전문대학 및 기초지방자치단체 소속 현장 관계자들을 대상으로 3회에 걸친 초점집단면담(Focus group interview)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연계와 협력을 위한 성공요인으로 전문대학-지자체 간 상호 호혜적 교류와 선행될 필요가 있고, 지역산업체와 지역주민들까지 참여하는 개방적 소통 거버넌스 창출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전문대학은 지역의 특성에 부합하는 교육과정의 개발이 중요하고, 지역 관계자들의 직업교육에 대한 인식개선과 사업운영의 자율성 확보가 필요함을 발견하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상호 협력을 위한 요구분석 시행, 고등직업교육의 본질적 가치 회복, 지구단위 사업의 원활한 시행을 위한 기초 인프라 구축 등을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iscover key issues emerging in the process of planning related projects for linkage and cooperation between junior colleges and local governments. Also, the research aimed to identify problems, and explore strategies to revitalize the colleges in the future. From it, three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for experts and officials belonging to junior colleges and local governments with experience in carrying out related projects.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mutually beneficial exchanges between junior colleges and local governments need to precede as a success factor for linkage and cooperation, and that open communication governance needs to be created in which local industries and local residents participate. It was found that it is important to develop a innovative curriculum that meets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mmunity, and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awareness of the values of vocational education of local officials and secure autonomy in the project operation. Based on the above research results, suggestions such as implementing prior need assessment analysis for mutual cooperation, restoring the essential value of higher vocational education, and establishing basic infrastructure through design as a district-level project were presented.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