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부산지역 특성화고등학생의 전공만족도와 진로자기결정효능감 및 취업준비행동 간의 관계 연구
이용수 199
- 영문명
-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ajor Satisfaction, Career Self-Determination Efficacy, and Job Preparation Behavior of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 in Busan
- 발행기관
- 한국직업교육학회
- 저자명
- 황미영(Mi-Young Hwang) 박종운(Jong-Woon Park) 이광빈(Gwang-Bin Lee)
- 간행물 정보
- 『직업교육연구』제41권 제1호, 69~88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2.28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전공만족도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을 매개로 전공만족도가 취업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여 4차 산업혁명시대 특성화고등학교 졸업생들이 지역인재로 잘 성장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고자하였다. 또한 부산지역 특성화고등학교 학과개편과 학과재구조화의 이론적 근거와 기초자료가 되는 것에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특성화고등학교 학생들의 취업준비행동에 영향을 주는 전공만족도와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을 분석하였고 전공만족도와 취업준비행동에서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배경변인에 따른 특성화고등학교 3학년이 전공만족도를 살펴보면,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전공만족도 전체와 하위요인 일반만족, 인식만족, 교과만족, 관계만족에서 모두 높았으며 진로결정자기효능감 하위요인 중 직업정보수집이 제일 높았다. 둘째, 전공만족도가 높을수록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취업(진로)준비행동이 높게 나타났다. 전공만족도 하위변인 중 일반만족, 인식만족, 교과만족, 관계만족이 취업준비행동에 영향을 주었고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서는 직업정보수집, 목표설정, 계획수립이 취업준비행동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전공만족도와 취업준비행동관의 관계에서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매개효과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특성화고등학교 학생들의 취업준비행동에 영향을 주는 전공만족도와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관계를 밝혀 자신의 진로와 취업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고자한다. 아울러 취업과 학생모집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특성화고등학교의 학과개편과 재구조화 정책을 위한 제언을 제시하여 특성화고등학교가 성장하고 발전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고자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tudy the effect of major satisfaction on job preparation behavior through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to serve as the theoretical basis and basic data for department reorganization and academic restructuring of graduates of specialized high schools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era. To this end, a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factors of major satisfaction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that influence the job preparation behavior of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when looking at the degree of major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background variable, female students had higher major satisfaction, general satisfaction, perception satisfaction, and relationship satisfaction than male students, and job information collection was the highest. Second, there were differences in major satisfactio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sub-factors of job preparation behavior by region. Third, the higher the major satisfaction, the higher th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the higher the employment (career) preparation behavior. Based on the above research resul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information that can help students in their careers and employment by illumin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major satisfaction and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that affects job preparation behaviors of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 In addition, it is intended to help specialized high schools grow and develop by suggesting policies for department restructuring and restructuring of specialized high schools that are experiencing difficulties due to employment and student recruitment.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Enhancing Learners’ Convergence Competency through VR Design-Based STEAM Education
- In-Context Learning을 통한 서·논술형 평가에서의 대형 언어 모델과 교사 간 채점 및 피드백 정합성 향상 방안
-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Beliefs about Intelligence, Goal Orientation, and Cognitive Task Engagement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