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영적돌봄 캥거루케어 프로그램이 미숙아의 신체성장 및 행동상태와 모아 애착에 미치는 효과
이용수 658
- 영문명
- The Effect of the Spiritual Kangaroo Care Program on an Infant’s Physical Growth, Behavioral State and Maternal Infant Attachment
- 발행기관
- 한국근거기반간호학회
- 저자명
- 이예원(Lee, Ye Won) 유별라(Ryu, Byeol Ra) 김동연(Kim, Dong Yeon) 황연숙(Hwang, Yun Suk) 권혜민(Kwon, Hye Min) 임이랑(L
- 간행물 정보
- 『근거와 간호』제9권 제1호, 1~9쪽, 전체 9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간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12.3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Purpose: The aim of this prospective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icacy of kangaroo care and spiritual care with a holy name on maternal attachment, growth, and behavior pattern of infants.
Methods: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post quasi-experimental design was used. In total, 32 parents and infants who were admitted to a certified tertiary hospital were enrolled. The intervention group underwent a spiritual care program through kangaroo care for at least six sessions over two weeks for 30 minutes per session. Body measurements and behavioral state were measured by a nurse practitioner, and maternal attachment was measured using a self-reported survey.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t-test, Mann-Whitney U test, 2 test, and repeated measures analysis of variance using SPSS 21.0.
Results: The intervention group showed increased body weight, head circumference, and maternal attachment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but the differenc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Height (F=4.70, p=.039)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but not between the groups over time. The intervention group showed a decreasing behavioral state, bu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control group and the spiritual kangaroo care group.
Conclusion: The Kangaroo care and spiritual care program can be applied as a supportive nursing intervention for preterm infants in the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목차
서 론
연구방법
연구결과
논 의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간호학분야 BEST
- 보건의료인이 인식하는 PA 간호사에 대한 내용 분석
- 인공지능을 적용한 국내 간호교육 연구 동향 분석
- 보건복지계열 대학생의 직업윤리의식과 사회적 책임이 정신질환자에 대한 옹호태도에 미치는 영향
의약학 > 간호학분야 NEW
- 생산직 근로자의 수면시간이 심혈관질환 위험에 미치는 영향: 제8기 국민건강영양조사(2020년도) 기반으로
- 요양병원 간호사의 간호근무환경과 인간중심돌봄 간의 관계에서 소진과 공감역량의 매개효과
- 병원간호사가 인식하는 긍정간호조직문화, 잡크래프팅, 직무열의가 간호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