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섭취량 측정방법에 대한 근거기반간호 사례
이용수 548
- 영문명
- Evidence-Based Nursing Case for Intake Measurement Method
- 발행기관
- 한국근거기반간호학회
- 저자명
- 김경희(Kim, Kyoung Hee) 박정순(Park, Jung Soon) 김나현(Kim, Na Hyoun) 남수민(Nam, Su Min) 박정옥(Park, Jeong Ok) 서은
- 간행물 정보
- 『근거와 간호』제9권 제1호, 27~32쪽, 전체 6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간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12.3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Purpose: Intake and output measurement methods are inconsistent in nursing practice. An evidence-based nursing case study was conducted to provide evidence on intake measurement methods and to ultimately promote nursing practice. Methods: The PICO format was used to generate a clinical question on intake measurement methods(fluid only vs. all types of food) and its associations between the differences in intake and output, and body weight changes. A literature search was conducted through both the national and international databases, and the selected articles were assessed using the Risk of Bias Assessment tool for Nonrandomized Study. The level of evidence was graded using the GRADE system.
Results: In total, 1,223 articles were screened, and four articles were selected in this study. Studies have indicated that there a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methods(fluid only vs. all types of food) on both intake and output differences and body weight changes. The risk of bias in the literature
was generally low, except for the intervention measurement area.
Conclusion: There is no evidence that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intake measurement methods in intake and output differences and body weight changes. We suggest a fluidonly intake measurement method to improve the accuracy and convenience of nursing practice(weak recommendation, moderate quality evidence).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간호학분야 BEST
- 보건의료인이 인식하는 PA 간호사에 대한 내용 분석
- 인공지능을 적용한 국내 간호교육 연구 동향 분석
- 보건복지계열 대학생의 직업윤리의식과 사회적 책임이 정신질환자에 대한 옹호태도에 미치는 영향
의약학 > 간호학분야 NEW
- 생산직 근로자의 수면시간이 심혈관질환 위험에 미치는 영향: 제8기 국민건강영양조사(2020년도) 기반으로
- 요양병원 간호사의 간호근무환경과 인간중심돌봄 간의 관계에서 소진과 공감역량의 매개효과
- 병원간호사가 인식하는 긍정간호조직문화, 잡크래프팅, 직무열의가 간호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