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사회복지학에서의 죽음에 관한 응시와 성찰
이용수 41
- 영문명
- The Gaze and Reflection on Death in Social Welfare Studies: Utilities of Qualitative Research Method
- 발행기관
- 한국사회복지질적연구학회
- 저자명
- 김미옥(Kim Miok)
- 간행물 정보
- 『한국사회복지질적연구』제9권 제1호, 5~28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03.31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사회복지학에서 죽음에 대한 응시와 성찰이 왜 필요하며, 그 과정에 질적연구방법이 갖는 유용성을 논의하고 있다. 이를 위해 이 연구는 첫째, 사회복지학에서의 죽음의 개념을 살펴보고, 둘째, 사회적 소통으로서의 죽음의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 한국사회와 죽음의 의미, 죽음의 속성에 대해 고찰해 보았다. 셋째, 사회복지학, 사회복지사와 죽음의 관계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이슈들을 논의하고, 이 외에 죽음을 넘어 다루어야 할 현상으로서 상실, 애도, 성장, 인간의 존엄성 등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사회복지학에서의 죽음 연구에서 질적연구가 갖는 힘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이를 토대로 이 연구는 사회복지학에서 죽음에 대한 연구가 보다 포괄적이고 적극적으로 이루어져야 함을 제기하고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ttempts to examine why the gaze and reflection on death in social welfare studies needs and discusses using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The main conten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examines the concepts, characteristics, and relevant literatures on death in social welfare studies. Second, this study attempts to explain the contexts and the meaning of death in Korean society as a social communication. Third, this study discusses diverse issues in the contexts of social welfare, social workers, and death. In addition, this study examines the concepts of loss, grief, growth after trauma, and human dignity as a phenomenon related to death. Finally, this study discusses utilities of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in social work research on death. This study suggests that death in social welfare situations be considered more sincerely and actively in order to better develop and improve social work practices and policies in Korea.
목차
1. 왜 죽음인가?
2. 응시와 성찰, 그리고 죽음
3. 사회적 소통으로서의 죽음의 맥락
4. 사회복지학, 사회복지사, 그리고 죽음
5. 죽음 그 넘어, 다루어져야 할 현상들
6. 질적연구와 죽음
7. 죽음에 대한 질적연구로의 초대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 사회복지의 법적 실천에 관한 탐색적 연구
- 한국과 미국의 사회복지 윤리강령 비교연구 : 비밀보장, 이중관계, 문화적 다양성, 결함이 있는 동료를 중심으로
- 청년실업의 원인과 해결방안에 관한 연구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이혼가정 아동의 외상 후 성장을 위한 해결중심 모래놀이치료 사례연구
- 교육현장의 아동학대 예방 및 대처 내실화를 위한 해결중심상담 적용 방안의 탐색적 연구
- 초보 해결중심상담자를 위한 슈퍼비전 실천 사례연구: “유능한 해결중심상담자가 되고 싶어요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