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일상학습의 개념화에 대한 탐색적 연구

이용수  244

영문명
An Exploratory Study on the Conceptualization of Casual Learning
발행기관
한국문화교육학회
저자명
이병준(Byung-Jun Yi) 석영미(Young-Mi Seok) 마루오시(Ruoxi Mai) 이지인(Ji-In Lee) 손혜진(Hye-Jin Son)
간행물 정보
『문화예술교육연구』제16권 제6호, 151~174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12.31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학습현상을 설명하고 학습현실을 이해하는데 있어 일상 속에서 형식을 갖추지 않은채 자연스럽게 또는 문화적으로 습득되는 것의 중요성이 갈수록 강조되고 있다. 일터학습의 경우에도 형식교육을 통한 개인의 성장과 발달보다는 무형식상황에서의 학습이 더 영향을 주고 있다는 연구결과들이 늘어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을 어떤 학자들은 무형식학습으로, 또 어떤 학자들은 일상을 강조한다는 의미에서 일상학습으로 명명하기도 한다. 그리고 어떤 이들은 삶의 문화적 맥락 속에서 학습이 일어난다고 하여 문화적 학습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우리나라 학계에서의 일상학습의 흐름과 동향을 분석하고, 일상 또는 일상성의 개념의 생성과 의미를 학제적으로 살펴보고 이에 기초하여 일상학습의 개념화를 시도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문헌분석을 통한 내용분석을 시도하였다. 일상의 개념은 철학적으로는 후설의 현상학에서 제시된 생활세계로부터 시작하여 이를 사회학적으로 이어받은 슈츠가 일상적 생활세계라는 개념으로 사용하기 시작하였으며 프랑스사회학에서는 일상성을 강조하는 하나의 사회학적 흐름이 형성되었다. 역사학에서는 집단기억과 심성을 연구한다는 차원에서의 일상사연구라는 하나의 패러다임이 생겨났다. 교육학에서도 일상학습을 강조하는 일군의 연구자들이 생겨났는데 학습이 생성되는 일상적 맥락에 주목했기 때문이다.

영문 초록

For explaining learning phenomena and understanding learning realities, an importance of acquiring naturally or culturally without form in daily life is emphasized as time goes by. In case of workplace learning, studying results that learning of informal situation makes more effects than individual growth and development through formal education are increasing. Some scholars name the phenomenon as informal learning and other scholars name it as casual learning because it focuses daily life. And some people call it cultural learning as learning is occurred in the cultural context of life. In this context, this researcher intended to analyze steam and tendency of casual learning in Korean academic world, examine creation and meaning of the concept of daily life or dailiness interdisciplinarily and based on it, try to conceptualize casual learning. To achieve them, this researcher tried to analyze the contents through literature analysis. The concept of daily life started from living world suggested in Husserl’s phenomenology philosophically, Schutz who succeeded to it sociologically started to use it as daily living world, and one social stream focusing dailiness was formed in French sociology. In historical studies, one paradigm of daily life research was occurred in respect of studying collective memory and mind was created. In pedagogy, some researchers who emphasized casual learning were appeared because they focused on daily context causing learning.

목차

Ⅰ. 서론
Ⅱ. 선행연구분석
Ⅲ. 일상의 개념과 일상연구
Ⅳ. 일상학습의 개념화
Ⅴ. 결론 : 일상학습의 개념과 일상학습연구의 방향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병준(Byung-Jun Yi),석영미(Young-Mi Seok),마루오시(Ruoxi Mai),이지인(Ji-In Lee),손혜진(Hye-Jin Son). (2021).일상학습의 개념화에 대한 탐색적 연구. 문화예술교육연구, 16 (6), 151-174

MLA

이병준(Byung-Jun Yi),석영미(Young-Mi Seok),마루오시(Ruoxi Mai),이지인(Ji-In Lee),손혜진(Hye-Jin Son). "일상학습의 개념화에 대한 탐색적 연구." 문화예술교육연구, 16.6(2021): 151-17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