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마을공동체 회복을 위한 문화예술교육 사례 연구
이용수 362
- 영문명
- A Case Study on Culture and Arts Education for the Recovery of Village Community: With Flowering Village Story at the center -
- 발행기관
- 한국문화교육학회
- 저자명
- 임선애(Sun-Ae Lim) 김윤태(Yun-Tae Kim)
- 간행물 정보
- 『문화예술교육연구』제16권 제6호, 57~76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12.31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강원도 00군 00면 00리 주민들을 대상으로 진행한 문화예술교육을 통해 마을 주민 간 갈등해소와 공동체가 회복하는 과정을 질적 사례연구로 밝히고자 하였다. 00리는 지리적 특성상 가구들이 모여 있지 않아 이웃 주민 간 교류가 어렵고 도시에서 이주해 펜션을 운영하는 사람들이 대부분으로 서로 간 경쟁하면서 경계하고 쌓인 갈등을 해소하기 원했다. 본 프로그램은 공동체의 화합을 목적으로 자연을 관찰하고 사진으로 기록하는 문화예술활동을 통해 개인의 변화와 공동체의 긍정적 변화를 탐색하고자 하였으며 자연을 모방하여 각자의 내재된 정신세계를 드러내고 나를 인식하는 과정을 통해 진리와 행복, 예술을 통한 소통으로 공동체를 회복하고자 하였다. 20명의 주민을 대상으로 16회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진행한 결과, 개인에게는 여가와 취미생활을 통한 정서적 힐링과 삶의 예술화를 가져왔으며 공동체로는 단절된 자기를 극복하고 지역사회 일원으로 변화하는 교육적 가치를 확인할 수 있었다.
영문 초록
This is a qualitative case study which examines the process where a culture and art education program helps village residents to solve conflicts among them and recover community. The target village was 00-ri, 00-myeon, 00-gun, Gangwon Province. Residents of 00-ri were geographically separate from each other, and could not easily communicate with each other. Most of them were outsiders who run pensions in the village. They were competitive and wary among one another. They wanted to resolve conflicts. This study applied a culture and art education program where residents could observe nature and take photos of nature. The purpose of the program was to induce changes of individuals and bring about positive results for the community through participation in cultural and artistic activities. By mimicking nature, participants were intended to reveal their inner world, and perceive themselves, communicating with each other through truth, happiness, and art, and recovering the community. This study performed 16 sessions of the culture and art education program to 20 residents of the village. It was found that, through leisure and hobby activities, participants could acquire emotional healing and artistic lifestyle, and it was identified that the program was helpful for residents to overcome separation among them and recover community.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마을공동체 기반 문화예술 프로그램 실천 사례 ‘꽃 피는 마을이야기’프로젝트
Ⅳ. 논의 및 결과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간호대학생에게 적용한 시나리오 기반 건강사정 실습 교육의 효과
- 장애인활동지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일의 의미가 조용한 사직에 미치는 영향
- 대학 합창 수업 맥락에서 SEL 평가도구의 적용 가능성 탐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