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부재하지만 암시적인
이용수 35
- 영문명
- The Absent but Implicit: The Story’s Reversal through Narrative Therapy
- 발행기관
- 한국기독교상담심리학회
- 저자명
- 최민수(choi min soo)
- 간행물 정보
- 『한국기독교상담학회지』제21권, 253~280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독교신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05.31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paper describes Michael White’s recent idea of the “absent but implicit”in narrative therapy. Michael White introduced the term “absent but implicit”to narrative practitioners in order to let them apply to their therapeutic practices. This concept of therapeutic work of the “absent but implicit”suggests the understanding that there is a discernment we make between known realities and other realities that have already been given meaning in our lives. In therapeutic conversations, we can use the notion of the“ absent but implicit”to process the narrative therapeutic enquiries. The concept of the “absent but implicit”enables us to enquire into the rich story of self that lie beyond the problem story and to support the new alternative story that lie outside of the problem story. Furthermore, the presentation of the “absent but implicit”takes a further step a line of enquire that can support people to live with a sense of being active in their lives as personal agency. This paper also presents work done with a woman who was dealing with relational conflict. Drawing on the concept of the “absent but implicit,”this paper attempts to explore and convey how the concept and practice of the “absent but implicit”can be used in therapeutic conversations through suggesting eight steps as the “absent but implicit”map of narrative practice. Thus, I am looking forward to be meaningful foundations to share and develop these ideas with many interested practitioners and others who are engaged in therapeutic research. Furthermore, I hope that this paper contributes to offer new ideas and practices in the field of a narrative practice.
목차
목회 상담;심리 치료;이야기 치료;부재하지만 암시적인;Pastoral Counseling;Psychotherapy;Narrative Therapy;Absent but Implici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 기독교인들의 영적 만족과 결혼 만족의 관계
- 중년기 부부의 건강한 부부관계 요인에 관한 연구
- 죽음에 대한 정신분석적 고찰과 기독교 상담적 활용
- 죄책감에 대한 통합적 이해
- 한국인의 성공적인 노화를 위한 행복한 노년 개념 연구
- 위기 상황 속 성서 인물의 정신역동
- 부재하지만 암시적인
- Conversion Process and Types: based on Autobiographies of Korean Christians
- 강요된 신앙경험 사례를 위한 체계적 접근 방법론 모색
- 기독교 상담에서 내담자가 경험하는 효과적인 상담 요인에 관한 연구
- 하나님의 주권에 대한 신념과 하나님의 이미지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 기독교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자녀 의사소통과 하나님 이미지의 관계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기독교신학분야 BEST
- 영재고를 졸업한 대학생의 내러티브 정체성에 관한 연구
- 학령기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상호작용 발달 놀이치료(IDP) 사례연구
- 죽음불안에 관한 분석심리학과 실존신학의 연구: 분석심리학자 칼 융과 실존신학자 폴 틸리히를 중심으로
인문학 > 기독교신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