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Mahler의 분리
이용수 176
- 영문명
- Understanding of Mothering Development and Implications to Christian Counseling: Applying Mahler’s concept of Separation–Individuation and Chodorow’s concept of Double Identification
- 발행기관
- 한국기독교상담심리학회
- 저자명
- 박승민(Seung-Min Park)
- 간행물 정보
- 『한국기독교상담학회지』제28권 제2호, 87~117쪽, 전체 31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독교신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5.31
6,5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논문은 모성 발달에 기저하고 있는 역동을 대상관계 이론가인 Mahler와 여성주의 정신분석학자 Chodorow의 관점을 적용하여 탐구하고, 기독교 상담학적 함의를살펴보는 것에 목적을 둔다. Mahler가 관계적 존재로서 유아의 발달 과정을 ‘심리적 탄생’ 과정으로 본 것과 같이, 이 과정은 또한 어머니로서의 ‘심리적 탄생’ 과정이기도 하다. 자녀가 어머니와의 관계에서 분리–개별화를 이루어 가듯이 어머니역시 자녀와의 관계에서 분리–개별화를 이루어 간다. 또한 어머니가 경험하는 정체성은 Chodorow가 설명하는 이중적 동일시 기제에 의해 형성된 정체성으로 설명할 수 있다. 즉, 원가족 부모의 자녀로서의 정체성과, 자녀의 어머니로서의 정체성이 서로 영향을 주기 때문에 건강한 혹은 불건강한 모성발달이 일어날 수 있다. 결론적으로, 분리–개별화와 이중 정체성 개념에 기초한 모성발달에 대한 설명은 원가족과의 관계에서 분리–개별화를 제대로 이루지 못한 채로 어머니가 된 여성도자녀로부터 분리–개별화를 건강하게 해내는 어머니로의 성장이 가능함을 보여 준다는 점에서 임상적으로 의미가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기독교상담에주는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dynamics underlying mothering development by applying the Object Relations Theorist, Mahler’s perspective and feminist psychoanalyst, Chodorow’s perspective, and to explore the implications to Christian counseling. As Mahler views infant’s developmental process as ‘the Psychological Birth’, so this process is also mother’s process of ‘the Psychological Birth’. As Child is fulfilling the separation–individuation, so mother does in the relationship with her child. The identity that the mother experiences can be explained by the identity formed by the dual identification mechanism explained by Chodorow. In other words, the children’s identity of original family and mother’s identity of her own children have an impact with each other, so healthy or unhealthy mothering development may occur. In conclusion, explanation of mothering development based on the concept of separation–individuation and double identification has a clinical implication, in that women, who became mother not accomplish separation–individuation from her original family, can grow to mother who can do separate–individuate from her chil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implications for Christian counseling were discussed.
목차
Ⅰ. 서론
Ⅱ. 모성 개념의 정의와 모성에 관한 선행연구 고찰
Ⅲ. 자녀의 분리-개별화(Mahler, 1963, 1975) 과정과 모성 발달의 관계
Ⅳ. 모성 발달 과정에 작용하는 이중적 동일시(double identification) 기제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기독교신학분야 BEST
- 영재고를 졸업한 대학생의 내러티브 정체성에 관한 연구
- 학령기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상호작용 발달 놀이치료(IDP) 사례연구
- 내재화 문제 행동을 보이는 유아를 대상으로 한 PCIT-ED 사례 연구
인문학 > 기독교신학분야 NEW
- 권두언
- WYD Seoul 2027을 향한 ‘청년 사목’의 성찰적 제도화에 관한 연구: 시노달리타스의 적용을 중심으로
- 한국 사회에서 청년 신앙인으로 살아가기: 가톨릭 청년 사목에 대한 사회학적 접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