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상담자의 영성과 상담성과 간의 관계에서 자기성찰과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이용수 348
- 영문명
-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reflection and self–efficacy on the relation between the spirituality of counselor and counseling outcome
- 발행기관
- 한국기독교상담심리학회
- 저자명
- 안미순(An, Mi– Soon) 정민선(Jung Min Sun)
- 간행물 정보
- 『한국기독교상담학회지』제28권 제2호, 119~146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독교신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5.31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상담자의 영성이 자기성찰과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상담성과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 상담자의 영성을 위한 유용한 자료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상담자와 내담자를 한 쌍으로 하여 273명의 연구대상의 자료를 빈도분석, 차이분석, 상관분석, 구조모형검증, 매개효과분석, 다집단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상담자의 영성과 자기성찰과 자기효능감, 상담성과 간의 유의미한 상관이 있었고, 둘째, 상담자의 영성과 상담성과의 관계에서 자기성찰과 자기효능감이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상담자의 영성과 상담성과의 관계에서 자기성찰과 자기효능감의 매개모형이 숙련상담자와 초보상담자 간에 차이가 없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상담자의 영성이 상담성과에 미치는 과정을 과학적으로 입증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상담자의 전문성 향상을 촉진하여 발전을 돕는데 도움이 되었을 것으로 본다.
영문 초록
The main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how the spirituality of the counselor mediated by self–reflection and self–efficacy affects the outcome of the counsel and to examine whether this model can be applied to both experienced and novice counselors. With a pair counselor and client, 273 of the questionnaires were performed to analysis of frequency, t–test, correlation, structure equation analysis, mediating effect analysis, and multi–group analysis. There is a correlation among the spirituality of the counselor, self–reflection and self–efficacy, and the outcome of the counseling except some cases. Second, Relationship between the spirituality of the counselor and the outcome of the counsel is well connected by a mediating model of self–reflection and self–efficacy. Third, there is no difference between a group of experienced and novice counselors about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reflection and self–efficacy. This study play a small role in attempt to verify the influence of the counselor’s spirituality scientifically. It may be helpful for development of counselor to promote integrity and professionalism.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기독교신학분야 BEST
- 영재고를 졸업한 대학생의 내러티브 정체성에 관한 연구
- 학령기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상호작용 발달 놀이치료(IDP) 사례연구
- 내재화 문제 행동을 보이는 유아를 대상으로 한 PCIT-ED 사례 연구
인문학 > 기독교신학분야 NEW
- 권두언
- WYD Seoul 2027을 향한 ‘청년 사목’의 성찰적 제도화에 관한 연구: 시노달리타스의 적용을 중심으로
- 한국 사회에서 청년 신앙인으로 살아가기: 가톨릭 청년 사목에 대한 사회학적 접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