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기도의 과정으로서 기독교 상담에 관한 연구

이용수  194

영문명
A Study of Christian Counseling as a Process of Prayer
발행기관
한국기독교상담심리학회
저자명
황지연(Hwang, Gi-Yeun)
간행물 정보
『한국기독교상담학회지』제28권 제2호, 213~240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인문학 > 기독교신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05.31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기독교 상담에서 내담자의 심리 내적인 문제를 관계적인 관점에서 역동심리학적으로 다루는 것이 그의 영적인 성장을 돕게 되며, 특별히 기도의 시작점이 될 수 있다는 근거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그것은 인간의 문제가 갖는 심리적 차원이 근본적으로 삶의 더 큰 부분에 영향을 주는 영적인 차원에 포함된다는 사실을 전제로 한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상담자와 내담자 사이의 관계를 중심으로 진행되는 상담의 네 가지 주요 요소들을 기도의 요소들과의 연관성 속에서 재해석하였다. 그것은 첫째, 상담의 참여자를 상담자와 내담자 그리고 성령을 포함하는 삼자(triadic) 관계로 보는 것이다. 둘째, 상담이 이루어지는 심리적 장소로서 중간영역(transitional space)이 기도가 이루어지는 심리 내적 장소와 동일하다. 셋째, 상담자의 공감적 경청이 내담자의 자유연상 과정을 돕게 되며 기도 중 자신의 원초적인 내적 세계를 더 잘 듣게 한다. 넷째, 역동상담에서 내담자의 참자기를 찾도록 돕는 과정은 그가 기도를 통해 궁극적인 참자기를 찾아가는 확실한 시작이 된다. 이러한 재해석의 과정은 기독교 상담자로서 새로 갖추어야 할 측면들을 제시한다.

영문 초록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how treating client’s inner psychological problems with the psycho–dynamics technique facilitates client’s spiritual growth, especially focusing on how it becomes a starting point to prayers. It is based on the premises that the psychological dimension of the human problems belong to the spiritual realm, which affects the problems more than other aspects. For this purpose the author reinterpreted the four main factors of the counseling that are center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unselor and the client linking to the factors that facilitate prayers. The four main factors are the following. First, by including Holy Spirit into the counseling proces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unselor and client are not dyadic, but triadic. Second, the transitional space within the psychological dimension for counseling is the same zone where prayers occur. Third, a counselor’s empathic listening helps a client’s free–association process and allows the client to hear a voice from her/his primal inner world during a prayer. Lastly, in a psychodynamic counseling a process to help a client find her/his true self becomes the beginning of searching for the ultimate true self through prayers. In addition, the new perspectives as a result of the above reinterpretation present some new qualities that are necessary for the Christian counselors.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상담과 기도
Ⅲ. 기도로서의 상담의 주요 요소들
Ⅳ. 나가는 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황지연(Hwang, Gi-Yeun). (2017).기도의 과정으로서 기독교 상담에 관한 연구. 한국기독교상담학회지, 28 (2), 213-240

MLA

황지연(Hwang, Gi-Yeun). "기도의 과정으로서 기독교 상담에 관한 연구." 한국기독교상담학회지, 28.2(2017): 213-24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