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간호사의 노인간호 스트레스, 노화인식, 노화불안이 노후준비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41
- 영문명
- The Influence of Care Stress for Older Patients, Self-perceptions of Aging, Aging Anxiety on Retirement Preparation in Nurses
- 발행기관
-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
- 저자명
- 강수진(Kang, Sujin) 염혜아(Yeom, Hye-Ah)
- 간행물 정보
-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제30권 제4호, 175~185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간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11.30
4,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influence of care stress for older patients, self-perceptions of aging, and anxiety about aging on preparation for retirement in clinical nurses. Methods: This was a cross-sectional descriptive study in which participants were 222 nurses who had at least six months of work experience and were involved in caring for older patients in the last six months at the work site. Data were collected from August to September, 2020 using an online survey questionnair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IBM SPSS/WIN 25.0 program. Results: The mean level of preparation for retirement in the participants was moderate (3.21 out of 5 points). Among the sub-domains of preparation for retirement, financial preparation had the lowest score. Self-perceptions of aging and aging anxiety were significant predictors for retirement preparation in nurses, accounting for 16% of the variable’s total variance. Conclusion: A greater level of preparation for retirement was associated with a positive perception of aging and a decreased level of aging anxiety in the clinical nurses. Further research should focus on exploration of specific determinants of financial preparation for retirement and development of intervention strategies for improving preparation for retirement in the nursing workforce.
목차
서론
연구방법
연구결과
논의
결론 및 제언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간호사의 노인간호 스트레스, 노화인식, 노화불안이 노후준비에 미치는 영향
- 신규 간호사가 인식하는 좋은 간호사 이미지
- 생활체조 프로그램이 사업장 근로자의 신체조성과 피로도에 미치는 영향
- 중년남성 근로자의 분노표현양식과 직무 스트레스가 심혈관질환 발생위험에 미치는 영향
- 코로나19 시기의 수도권 일부 지역 공공보건서비스 방문간호사의 직무실태 및 직무스트레스
- 연도별, 업종별 업무상 사고사망자 특성
- 어시장 상인의 건강증진행위 영향요인
- 간호학과 교수의 직무 스트레스와 교수 효능감이 조직 몰입도에 미치는 영향
- 금융사무원의 심리사회적 작업환경과 정신건강
- 고객 폭력 경험, 보호제도, 모니터링제도가 근로자의 주관적 건강상태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간호학분야 BEST
- 보건의료인이 인식하는 PA 간호사에 대한 내용 분석
- 인공지능을 적용한 국내 간호교육 연구 동향 분석
- 보건복지계열 대학생의 직업윤리의식과 사회적 책임이 정신질환자에 대한 옹호태도에 미치는 영향
의약학 > 간호학분야 NEW
- 응급실 간호사의 자살시도자에 대한 낙인 인식이 인간중심간호 수행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3D Motion Cognitive Rehabilitation Program on Activities of Daily Living, Self Efficacy an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Stroke
- 만성폐쇄성폐질환자의 흡입기 사용 평가 체크리스트 개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