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연도별, 업종별 업무상 사고사망자 특성
이용수 9
- 영문명
- Characteristics of Industrial Accident Deaths by Year and Industry
- 발행기관
-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
- 저자명
- 정혜선(Jung, Hye-Sun) 곽수진(Kwak, Su-Jin) 권은중(Kwon, Eun-Jung) 백은미(Baek, Eun-Mi)
- 간행물 정보
-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제30권 제4호, 186~195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간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11.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Purpose: The current status and rationale of industrial accidents needs to be examined to develop scientific and systemic preventive measures. Method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urrent data on industrial accidents provided by the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and categorize work-related deaths by types of industries and annual report. Results: First, the highest number of deaths occurred in industries that had less than 50 people. Second, in the manufacturing industry, the highest death rate was found in workers in the age group 50-59 years.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workers aged 50 and above had the highest number of deaths. In other industries, workers aged 60 and above had the highest number of deaths. Third, the highest number of deaths occurred in workers with less than one year of experience in any industry Fourth, in most industries, the highest work-related deaths occurred during weekdays (Monday~Friday). In 2015, the warehouse delivery industry had 33% higher work-related deaths on the weekends (Saturday and Sunday) as compared to other industries. Fifth, in most industries, the highest work-related deaths occurred from 8 AM to 6 PM. The warehouse delivery industry had higher work-related deaths from 10 PM to 8 AM as compared to other industries. Conclusion: In order to increase the efficacy of industrial accident prevention,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n effective health management system and apply stric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목차
서론
연구방법
연구결과
논의
결론 및 제언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간호사의 노인간호 스트레스, 노화인식, 노화불안이 노후준비에 미치는 영향
- 신규 간호사가 인식하는 좋은 간호사 이미지
- 생활체조 프로그램이 사업장 근로자의 신체조성과 피로도에 미치는 영향
- 중년남성 근로자의 분노표현양식과 직무 스트레스가 심혈관질환 발생위험에 미치는 영향
- 코로나19 시기의 수도권 일부 지역 공공보건서비스 방문간호사의 직무실태 및 직무스트레스
- 연도별, 업종별 업무상 사고사망자 특성
- 어시장 상인의 건강증진행위 영향요인
- 간호학과 교수의 직무 스트레스와 교수 효능감이 조직 몰입도에 미치는 영향
- 금융사무원의 심리사회적 작업환경과 정신건강
- 고객 폭력 경험, 보호제도, 모니터링제도가 근로자의 주관적 건강상태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간호학분야 BEST
- 보건의료인이 인식하는 PA 간호사에 대한 내용 분석
- 보건복지계열 대학생의 직업윤리의식과 사회적 책임이 정신질환자에 대한 옹호태도에 미치는 영향
- 인공지능을 적용한 국내 간호교육 연구 동향 분석
의약학 > 간호학분야 NEW
- Factors influencing Handgrip Strength in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 SBAR를 활용한 교육 프로그램이 아동 간호사의 의사소통 명확성, 의사소통 자신감 및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
- 면역항암제 치료 중인 암환자의 지지적 간호 요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