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생활체조 프로그램이 사업장 근로자의 신체조성과 피로도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5
- 영문명
- Effects of the Gymnastics Program on Body Composition and Fatigue of Workers in Manufacturing
- 발행기관
-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
- 저자명
- 정은숙(Jung, Eunsook) 김태연(Kim, Taeyeon) 김진연(Kim Jinyeon)
- 간행물 정보
-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제30권 제4호, 216~223쪽, 전체 8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간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11.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Purpose: To evaluate the effect of a gymnastics program for eight weeks to maintain better body composition and decrease fatigue among factory workers. Methods: Data were collected in 54 female workers in their 50s and 60s in a factory located in the S city of the K region between April and July in 2019.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1) experimental group (n=27) received a 30 minute-gymnastics program three times per week, and 2) control group participated in lecture series about the principle and effect of the gymnastics program. Body composition and fatigue levels were measured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and analyzed using the SPSS 23.0 program. To evaluate the differences in demographic and clinical characteristics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the chi-squared test and the t-test were used. Repeated measures two-way ANOVA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change between outcomes of the pre-and post-investigation. Pairwise comparisons were used to assess the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and the time. Results: There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body fat mass (p<.001), body fat percentage (p<.001), basal metabolic rate (p<.001), and body mass index (p<.022) in the experimental group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In particular, there is a significant interaction between the groups and the time in body fat mass (F=6.308, p=.015), basal metabolic rate (F=11.397, p=.001), fatigue (F=6.933, p=.011). Conclusion: Our findings suggest that using the gymnastics program helps women in their 50s and 60s who work in factories promote better body composition and reduce fatigue levels.
목차
서론
연구방법
연구결과
논의
결론 및 제언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간호사의 노인간호 스트레스, 노화인식, 노화불안이 노후준비에 미치는 영향
- 신규 간호사가 인식하는 좋은 간호사 이미지
- 생활체조 프로그램이 사업장 근로자의 신체조성과 피로도에 미치는 영향
- 중년남성 근로자의 분노표현양식과 직무 스트레스가 심혈관질환 발생위험에 미치는 영향
- 코로나19 시기의 수도권 일부 지역 공공보건서비스 방문간호사의 직무실태 및 직무스트레스
- 연도별, 업종별 업무상 사고사망자 특성
- 어시장 상인의 건강증진행위 영향요인
- 간호학과 교수의 직무 스트레스와 교수 효능감이 조직 몰입도에 미치는 영향
- 금융사무원의 심리사회적 작업환경과 정신건강
- 고객 폭력 경험, 보호제도, 모니터링제도가 근로자의 주관적 건강상태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간호학분야 BEST
- 보건의료인이 인식하는 PA 간호사에 대한 내용 분석
- 인공지능을 적용한 국내 간호교육 연구 동향 분석
- 보건복지계열 대학생의 직업윤리의식과 사회적 책임이 정신질환자에 대한 옹호태도에 미치는 영향
의약학 > 간호학분야 NEW
- 응급실 간호사의 자살시도자에 대한 낙인 인식이 인간중심간호 수행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3D Motion Cognitive Rehabilitation Program on Activities of Daily Living, Self Efficacy an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Stroke
- 만성폐쇄성폐질환자의 흡입기 사용 평가 체크리스트 개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