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설득적 에세이 점수의 예측도구로서의 감성분석 기법
이용수 187
- 영문명
- Sentiment Analysis as a Predictor for Scores of Persuasive Essays
- 발행기관
- 한국교원대학교 뇌·AI기반교육연구소
- 저자명
- 신동광(Dongkwang Shin)
- 간행물 정보
- 『Brain, Digital, & Learning』제11권 제2호, 215~226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6.30
4,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o what extent sentiment analysis can be applied to tone analysis of persuasive essays as a predictor for scores of the essays. To this end, the sentiment analysis of the text mining program ‘Orange3’ was utilized. This study first looked at the effects of Vader s sentiment indices (positive, negative, neutral, and compound values) on the total score of positive and negative essays. As a result, in the positive essay, all the sentiment analysis result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total score. In particular, it was confirmed that the compound value had the greatest influence as a predictor of the total score of the positive essay as well as the scores in the four sub-scoring domains—task performance, content, organization and language use. On the other hand, it turned out that there were no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sentiment indices and scores of negative essays. These results suggest that even if learners write a persuasive essay with either positive or negative tone, they could expect a higher score when comparing the two opposite positions rather than the one-sided one. This was also confirmed to some extent through word cloud analysis. Of course, there were some limitations in this study as well but it showed the applicability of sentiment analysis to predict scores of persuasive essays.
목차
Introduction
Theoretical Background
Methods
Results and Discussion
Conclusion and Implications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생명과학 Ⅰ의 ‘유전’ 영역에 대한 실시간 상호작용가능 원격 수업을 위한 디지털 교재 개발
- 생물 분류와 무생물 분류과정의 두뇌 활성 비교를 통한 예비교사의 분류전략에 대한 인지적 분석
- 협력적 문제해결 중심(CoProC) 교수모델이 중등 과학 교사의 인성 교육에 대한 인식과 인성 중심 수업 실행 수준에 미치는 영향 분석
- 디지털 미디어 시대의 사회과 리터러시 교육
- 고등학교 물리학 실험보고서에 대한 온라인 동료 피드백 분석
- 설득적 에세이 점수의 예측도구로서의 감성분석 기법
- 특성화고등학교 용접실습에서 직업기초능력 향상을 위한 문제중심학습
- 요리를 이용한 과학실험 수업이 중학생의 정의적영역에 미치는 효과
- 0교시 플로어볼 활동이 초등학생의 건강관련체력과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 AI 분류 모델을 활용한 초등 AI·과학 융합 교육프로그램 개발
- 과정중심 평가 정책에 대한 일반계 교사의 인식 연구
- 심적 회전 활동에 따른 인지 전략 분석 및 공간 감각과 수 감각 향상에 미치는 효과
- 변환기하 프로그램에서 아동의 두뇌 활성 및 기능적 연결성의 변화: fNIRS 연구
- 생물개념평가의 자기모니터링에서 과신편향과 어려움-쉬움 효과 탐색
- 과학연구자의 연구환경에서 인지편향적 요소를진단하는 설문도구 개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스포츠를 중심으로 한 마을공동체 구성원의 학습경험에 대한 연구: 렉섬 사례를 중심으로
- 성인 문해능력 수준 결정요인의 변화 양상: 의사결정나무를 활용한 2014년과 2023년 비교 연구
- 학습도시를 활용한 스마트시티의 디자인 개선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