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상담자용 윤리적 실천 자기효능감 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학교 상담자 집단을 대상으로
이용수 376
- 영문명
-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Ethical Practice Self-Efficacy Scale for Counselors: Focusing on a Group of School Counselors
- 발행기관
-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 저자명
- 김도희(Kim, Do-Hee) 김희정(Kim, Hee-Joung) 지경예(Ji, Kyong-Ye)
- 간행물 정보
- 『교육논총』제41권 제2호, 1~27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6.30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윤리 강령에 따라 상담을 수행할 수 있는 능력과 관련된 상담자의 자기효능감을 측정할 수 있도록 상담자용 윤리적 실천 자기효능감 척도(Ethical Practice Self-Efficacy Scale for Counselors: EPSES-C)를 개발하였다. 그리고 학교 상담자 집단의 응답을 바탕으로 척도의 타당도를 검토함으로써 위 척도가 학교 현장에 실질적으로 적용될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상담자 윤리와 관련된 선행연구와 윤리 규정을 검토하여 총 27개의 문항으로 구성된 척도를 완성하였으며 초․중․고등학교 및 교육청에서 근무하고 있는 상담자 244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그리고 표본을 무작위로 나누고 122명의 자료를 사용하여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나머지 122명의 자료를 통하여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에 따라 최종 척도에는 15개 문항이 포함되었으며, 연구를 통해 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가 확인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내담자 권리 존중, 상담윤리 이해, 내담자 자살 방지, 전문성 개발, 비밀보장과 관련된 자기효능감을 포함한 총 다섯 가지의 하위요인이 확인되었으며, 윤리적 실천 자기효능감 점수가 높을수록 소진이 낮고, 학교 상담 현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윤리적 상황에서 더욱 바람직한 판단을 내리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위 요인에 대한 신뢰도는 .69에서 .79 사이이며, 전체 문항의 신뢰도는 .90으로 나타나 본 연구에서 개발한 척도가 학교 현장에서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developed an ethical practice self-efficacy scale for counselors (EPSES-C). Additionally, it reviewed the validity of the developed scale based on the responses of a group of school counselors to examine the possibility of practically applying this scale in schools. Specifically, it investigated previous studies and ethical guidelines regarding the ethics of counselors to complete the development of the scale based on 27 items. It obtained data of 244 counselors working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as well as in the Offices of Education in South Korea. Moreover, it conducted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by dividing samples randomly and using data of 122 counselors, in addition to performing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based on the data of the remaining 122 counselors. The final scale included 15 item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es, and the study ensured this scale’s validity and reliability. Additionally, the study derived five sub-factors, including self-efficacy related to respect for rights of counselees, the understanding of ethics of counseling, the prevention of suicide of counselees, the development of expertise, and ensuring counselee confidentiality. The analysis results indicated that counselors who had a higher EPSES-C score tended to be less prone to exhaustion. They were also likely to make more ethical judgments in difficult situations during practical counseling in schools. Based on these results, criterion validity was ensured. Reliability ranged from .69 to .79 with respect to the sub-factors, and as the reliability of all items was calculated to be .90, this study verified the possibility of the developed scale being effectively applied in schools.
목차
Ⅰ. 서론
Ⅱ. 방법
Ⅲ. 결과
Ⅳ. 논의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스포츠클럽에 참여한 초등학생의 신체인지와 공감력 및 체육수업기대 간의 관계
- 초등학교 현장에서 선호되는 학교장 지도성 특성 분류 Q-사정도구 개발 및 적용
- 교원양성기관 역량진단 지표의 책무성 탐색: 교육대학을 중심으로
- SW융합 기반 노벨엔지니어링(NE)이 읽기동기와 학습몰입에 미치는 효과
- 한국 초등 사회과 교과서에 재현된 동남아:교수요목기에서 2015 개정 교육과정까지 서술내용 분석
- 상담자용 윤리적 실천 자기효능감 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학교 상담자 집단을 대상으로
- 초등교사의 배구동호회 참여 경험과 의미
- 차별피해경험이 초등학생의 사회적 약자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 동아프리카의 스와힐리 음악 연구
- 또래에 대한 성장신념, 기본심리욕구 지지적인 태도, 자기결정성 동기, 수업참여 및 또래관계 질의 구조적 관계
- 유아역사교육의 연구동향 분석: 2001∼2020년 국내 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 중학교 교사의 수업활동 및 교직태도 변화 분석: 경기도지역 교사를 중심으로
- 유아교사의 인문학적 소양이공감능력과 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민주시민교육 실천 사례 분석: 정의지향적(Justice-Oriented) 접근을 중심으로
- 국가 교육 재정사업의 타당성 확보를 위한 분석 프레임 개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老年教育“1+2+X”协同模式研究——以湖北省老年教育发展状况的调研为例
- 体系化与专业化:学生社团组织在思政教育中的两大维度
- 制度赋能·协同共生·生态重构:韩国专门大学产教融合机制研究——兼论对中国高职教育高质量发展的启示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