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동아프리카의 스와힐리 음악 연구
이용수 121
- 영문명
- A Study of Swahili Music in East Africa
- 발행기관
-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 저자명
- 오성일(Oh, Seong il) 손민정(Son, Min jung)
- 간행물 정보
- 『교육논총』제41권 제2호, 151~168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6.30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맥락주의에 의거한 다문화 음악 접근법을 통해 동아프리카인들이 갖고 있는 스와힐리 정체성을 확인하고, 스와힐리 음악을 소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의 방법으로는 문헌 연구를 통해 다문화 음악교육과 맥락주의의 필요성에 대해 탐색하고, H대학교에서 석사학위 연수에 참여하고 있는 탄자니아, 케냐, 르완다의 교사를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여 스와힐리 정체성과 그들의 음악에 대해 알아보았다. 또한 탄자니아에서 교육 컨텐츠를 개발하고 있는 사회적 기업 우봉고 키즈(Ubongo kids) 책임자와의 이메일 인터뷰를 통해 대면 인터뷰에서 얻은 결과물에 대해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동아프리카는 언어와 부족 중심의 사회이기 때문에 그들의 음악은 국가가 아니라 언어나 부족이 중심이 되어야 한다. 둘째, 개발도상국이라는 동아프리카의 사회적 특성상 기초 학문에 관심이 많은 반면에 비문해율이 높아 학교에서 음악을 스와힐리 교육에 기능적으로 활용하는 경우가 많았다. 셋째, 독일과 영국의 식민 지배를 받았던 역사적 맥락과 관련하여 동아프리카의 학교에서 부르는 스와힐리 동요 중 상당수 가사는 스와힐리로 되어 있지만, 리듬과 멜로디는 서양의 것을 따르고 있었다. 본 연구는 이를 바탕으로 스와힐리 동요를 도입하여 동아프리카의 사회적, 문화적 맥락을 고려한 지도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Swahili language identity of East Africans using a new, multicultural, music-informed approach grounded in contextualism, and to introduce Swahili music. The study began by researching the literature to explore the necessity of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 and contextualism. This was followed by interviews with study participants: teachers from Tanzania, Kenya, and Rwanda, who were enrolled in the master s degree training at the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We explored the concept of Swahili identity as well as Swahili music, both of which are becoming more nuanced. To cross-examine the contents of the in-person teacher interviews, we included an email interview with the manager of Ubongo kids: a social enterprise developing educational content in Tanzania. Ou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since East Africa is a language- and tribal-centered society, its music should be centered on language or tribe, not specific countries. Second, due to the high rate of illiteracy - and the social characteristics of East Africa as a region comprised of developing countries - music is often functionally used in Swahili education. Third, due to the history of German and British colonialism in the region, the rhythm and melodies of East African school songs followed Western ones, though the nursery rhymes were in Swahili. Based on this, the study introduced two new Swahili nursery rhymes that reflect the East African context, so we could understand the Swahili identity of East Africa.
목차
Ⅰ. 서론
Ⅱ. 다문화 음악교육과 맥락주의
Ⅲ. 동아프리카의 언어 정체성
Ⅳ. 스와힐리 음악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스포츠클럽에 참여한 초등학생의 신체인지와 공감력 및 체육수업기대 간의 관계
- 초등학교 현장에서 선호되는 학교장 지도성 특성 분류 Q-사정도구 개발 및 적용
- 교원양성기관 역량진단 지표의 책무성 탐색: 교육대학을 중심으로
- SW융합 기반 노벨엔지니어링(NE)이 읽기동기와 학습몰입에 미치는 효과
- 한국 초등 사회과 교과서에 재현된 동남아:교수요목기에서 2015 개정 교육과정까지 서술내용 분석
- 상담자용 윤리적 실천 자기효능감 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학교 상담자 집단을 대상으로
- 초등교사의 배구동호회 참여 경험과 의미
- 차별피해경험이 초등학생의 사회적 약자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 동아프리카의 스와힐리 음악 연구
- 또래에 대한 성장신념, 기본심리욕구 지지적인 태도, 자기결정성 동기, 수업참여 및 또래관계 질의 구조적 관계
- 유아역사교육의 연구동향 분석: 2001∼2020년 국내 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 중학교 교사의 수업활동 및 교직태도 변화 분석: 경기도지역 교사를 중심으로
- 유아교사의 인문학적 소양이공감능력과 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민주시민교육 실천 사례 분석: 정의지향적(Justice-Oriented) 접근을 중심으로
- 국가 교육 재정사업의 타당성 확보를 위한 분석 프레임 개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老年教育“1+2+X”协同模式研究——以湖北省老年教育发展状况的调研为例
- 体系化与专业化:学生社团组织在思政教育中的两大维度
- 制度赋能·协同共生·生态重构:韩国专门大学产教融合机制研究——兼论对中国高职教育高质量发展的启示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