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차별피해경험이 초등학생의 사회적 약자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이용수 282
- 영문명
- Effect of Experience of Discrimination on Attitudes of the Socially Disadvantaged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 발행기관
-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 저자명
- 문정민(Moon, Jeongmin) 진송수(Jin, Songsoo)
- 간행물 정보
- 『교육논총』제41권 제2호, 227~245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6.30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사회적 약자에 대한 태도가 그들이 겪는 차별피해경험으로 인해 어떤 영향을 받는지, 이러한 영향이 성별이나 가정환경, 자아개념 등의 개인 변수를 통제하고 난 후에도 변화가 있는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이후 시간의 변화에 따라 이러한 차별피해경험이 사회적약자에 대한 영향을 어떻게 바꾸는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기교육종단연구(GEPS)의 1∼3년도의 초등학교 4학년 대상의 코호트 데이터를 사용하였으며, 총 3,541명의 데이터를 다층성장모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생의 사회적 약자에 대한 태도는 시간이 흐름에 따라 이들을 돕고 싶어하는 태도가 높아지는 것이 보이며, 이러한 사회적 약자에 대한 태도의 초기치와 변화율에는 개인적인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차별피해경험은 사회적 약자에 대한 태도를 부정적으로 바꾸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개인적인 변인을 추가한 이후에도 이러한 결과는 바뀌지 않았다. 셋째, 초등학생의 차별피해경험이 사회적 약자에게 주는 영향은 개인적 변수를 추가적으로 투입하였을 때 시간이 흐름에 따라 약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초등학생이 경험하는 차별피해가 기존에 논의되었던 학생의 정서적, 사회적 발달의 저하뿐만 아니라, 시민적 역량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을 제시하며, 관련 인권교육 정책에 가지는 시사점을 논의하고자 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sought to understand whether elementary school students attitudes toward socially disadvantaged peers are affected by their experiences of discrimination, whether these effects change even after individual variables are controlled, and how they change over time. To this end, data from the 1st to 3rd year of the Gyeonggi Education Panel Study (GEPS) was used, and 3,541 people s data were analyzed by applying a multi-level growth model. The results of the analysis were as follows. First, elementary school students attitudes toward the socially disadvantaged demonstrate an increase over time, along with personal differences in the initial values and rate of change in attitudes. Second, the experience of discrimination was found to have negatively changed attitudes toward the socially disadvantaged, and these results did not change even after accounting for personal variables. Third, the impact of the discriminatory experiences was weakened when personal variables were added.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discusses the implications of human rights education policies, suggesting that discrimination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is detrimental to both the emotional and social development of the disadvantaged learners in question.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스포츠클럽에 참여한 초등학생의 신체인지와 공감력 및 체육수업기대 간의 관계
- 초등학교 현장에서 선호되는 학교장 지도성 특성 분류 Q-사정도구 개발 및 적용
- 교원양성기관 역량진단 지표의 책무성 탐색: 교육대학을 중심으로
- SW융합 기반 노벨엔지니어링(NE)이 읽기동기와 학습몰입에 미치는 효과
- 한국 초등 사회과 교과서에 재현된 동남아:교수요목기에서 2015 개정 교육과정까지 서술내용 분석
- 상담자용 윤리적 실천 자기효능감 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학교 상담자 집단을 대상으로
- 초등교사의 배구동호회 참여 경험과 의미
- 차별피해경험이 초등학생의 사회적 약자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 동아프리카의 스와힐리 음악 연구
- 또래에 대한 성장신념, 기본심리욕구 지지적인 태도, 자기결정성 동기, 수업참여 및 또래관계 질의 구조적 관계
- 유아역사교육의 연구동향 분석: 2001∼2020년 국내 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 중학교 교사의 수업활동 및 교직태도 변화 분석: 경기도지역 교사를 중심으로
- 유아교사의 인문학적 소양이공감능력과 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민주시민교육 실천 사례 분석: 정의지향적(Justice-Oriented) 접근을 중심으로
- 국가 교육 재정사업의 타당성 확보를 위한 분석 프레임 개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老年教育“1+2+X”协同模式研究——以湖北省老年教育发展状况的调研为例
- 体系化与专业化:学生社团组织在思政教育中的两大维度
- 制度赋能·协同共生·生态重构:韩国专门大学产教融合机制研究——兼论对中国高职教育高质量发展的启示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