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책임전질의 체계적 해석과 활용을 위한 시론
이용수 14
- 영문명
- An Essay on the systematic construction and application of the sub-pledge
- 발행기관
- 한국민사법학회
- 저자명
- 최수정(Choi, Su Jeong)
- 간행물 정보
- 『민사법학』제55호, 503~530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09.30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key to the effectiveness of secured credit is that it allows transactions to use the value inherent in their assets as a means of reducing the creditor’s risk that it will not be paid. The secured creditor can also himself give the secured assets in security as well as the secured obligation, ie a pledgee may grant a sub-pledge. But when the secured creditor whishes to use the pledged assets or give them in security, the consent of the grantor is required in principle. The Korean Civil Code provides two kinds of sub-pledge, one is as stated above with the consent of the grantor(§§343,324(2)) and the other without it(§§336,337). On the latter the prevailing opinion is that the sub-pledged object is the pledge coupled with an assignment of the debt secured by that security interest. But it means only the creation of a pledge in a receivable secured by a pledge, not a sub-pledge. So §336 is to be construed to provide the way and the validity to give the pledged assets in security. The article becomes the authority for the pledgee to create a sub-pledge. However, the pledgee may not grant a sub-pledge greater than his own and for an amount exceeding that secured by the pledge to him. In general the law governing a sub-pledge looks reasonably clear, but the existing constructions are unsystematic and inconsistent. This paper propose to identify a sub-pledge as a sub-security which gives secured assets in security for the secured creditor or the third party, and examines the way to balance the interests of the parties concerned.
목차
Ⅰ. 서
Ⅱ. 전질에 관한 종래 학설과 판례
Ⅲ. 입법배경
Ⅳ. 책임전질의 법적 성질에 대한 비판적 검토
Ⅴ. 책임전질에 있어서 당사자의 법률관계
Ⅵ.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인공지능(AI)과 윤리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 중증 여성장애인의 고용차별에 대한 현상학적 접근: 노동시장에서의 이중차별 중심으로
- 산재근로자의 일상생활수행 장애와 자아존중감, 자기효능감 잠재프로파일 유형 분류: 영향요인과 잠재프로파일별 일상생활만족도와 직무만족도 차이 검증
- 고용의무사업체 장애인 근로자 일자리 이동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