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대하소설의 ‘일상 서사’의 미학
이용수 10
- 영문명
- Aesthetics of Common Narrative on the River Novels: Rope Dancing Between the Common and Uncommon
- 발행기관
- 국문학회
- 저자명
- 한길연(Han, Gil-yeon)
- 간행물 정보
- 『국문학연구』제14호, 125~149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6.05.31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affinity of women and common life is well known. This thesis examines the aesthetics of ‘common narrative’ on the story of Hyeonssiyangwoongssangninki, Okwonjaehapkiyeon, and Wanwolhyemaengyeon. ‘Common narrative’ is shown in the grand part of wife’s making play on husband and the family of husband’s taking part with daughter-in-law. In these common narratives the hope and desire of women in agony under the patriarchal system of the time place. It is presented in the form of making play on and embarrassing men, occasionally by women oneself and occasionally in the conspiracy with family of husband. The tight rope dancing between common reality of the time and the desire of getting out of common life is the aesthetics of river novels of the latter period of Chosun Dynasty. Women of the time might dream another common life over the real common through these common narratives of the novels.
목차
1. 서론
2. 여성의 억압된 현실과 아내의 남편 골탕 먹이기
3. 여성의 억압된 현실과 시댁식구들의 며느리 편들기
4.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제주도 신화에 나타난 ‘신화적 일상’의 특성과 경험의 신화화(神話化) 양상
- 민요 차용의 관점에서 본 판소리사의 몇 가지 문제
- 2004년도 구비문학 분야 연구 동향
- 신라 귀족의 사랑과 향가의 일상성
- 조선말 민중종교운동 관련 문학에 나타난 신이 인식의 의미
- 18~19세기 사대부 가사에 나타난 일상성의 양상
- 2004년도 한문학 분야 연구 동향
- 2004년도 고전소설 분야 연구 동향
- <영삼별곡>과 <도통가>를 통해서 본 권섭의 가사창작 양상과 그 의미
- 대하소설의 ‘일상 서사’의 미학
- 판소리 문학에 나타난 日常性
- 권필과 이안눌의 교유와 문학 활동
- 2004년도 시가문학 분야 연구 동향
- 일기 등 잡기에 나타난 조선후기 문인의 일상과 의미
- 한시에 나타난 일상의 의의와 역할
- 17세기 고전 장편소설을 바라보는 시각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 ‘밈(meme)’을 활용한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상호 협력과 융복합교육
- 연구 동향 분석을 통해 본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연구의 실태와 제언
- 한국어 쓰기 전략 교육을 위한 생성형 AI 활용 연구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 『明美堂集』편찬 과정과 耕齋 李建昇의 역할 - 『海耕堂收草』에 수록된 서독문을 중심으로
- 11세기 후반-13세기 전반 高麗 古文脈의 구성과 高麗 中期 試論
- 11~15세기 동아시아의 公案禪 확산과 詩文의 성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