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조선후기 검협서사 연구
이용수 20
- 영문명
- A Study on the Narrative of Sword Masters in late Joseon Dynasty
- 발행기관
- 국문학회
- 저자명
- 김유진(Kim Yu Jin)
- 간행물 정보
- 『국문학연구』제38호, 233~271쪽, 전체 39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11.30
7,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18세기 후반 여항에 떠돌던 검협 이야기는 조선후기 문인들에게 수용되어 검협서사로 정착되었다. 이들 검협서사 작품들은 그 내용에 따라 노승 검협, 소년 검협, 장군 검협, 여성 검협으로 분류될 수 있다. 검협서사를 다른 한문단편들과 구별 짓는 서사 형식으로는 ‘검술 보이기’와 ‘검술 겨루기’가 있다. 이러한 검협서사는 검술을 매개로 한 사승 관계를 전제하고 있다. 검협서사의 주요 갈등은 복수의 연쇄와 반복을 통해 전개되고 있다. 이러한 검협서사는 검과 복수의 서사라 칭할 수 있으며, 18세기 후반 검협서사가 유행할 수 있었던 이유를 당대의 사회적 분위기와 정조의 통치 행위와 결부시켜 이해할 수 있다.
영문 초록
In the late 18th century’s Joseon Dynasty, the story of the Sword Masters in ordinary people was accepted by literati and settled as the narrative of the Sword Masters. According to the contents of these narratives, their characters could be categorized as an old monk, young people, a general, and a swordswoman. There are two types of narrative forms that distinguish other short stories are ‘showing swordsmanship’ and fighting by swords’. These narratives’ presuppositions are based on swordsmanship carried by the master of swords. The major conflicts of these narratives are spread through the sequences and repetitions of vengeance. These narratives can be called the stories of swordsmanship and revenge. Conclusionally the reason why the late 18th century’s the narrative of sword masters could be popular can be understood by associating it with the social atmosphere of the time and governance of Jungjo.
목차
Ⅰ. 서론
Ⅱ. 검협서사의 존재양상
Ⅲ. 검술과 복수의 서사
Ⅳ.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굴봉정촬토(掘峰頂撮土)’ 행위로 본<구지가>의 성격에 대한 재고
- Ideal Wonderland:Korean “Eight Views of Xiao-Xiang”Poems and Folk Paintings in Joseon Dynasty
- 조선후기 검협서사 연구
- 詩文을 통한 昌慶宮의 장소 정체성 강화 방안 연구
- 「덴동어미화전가」의 작자 문제
- 「이생송원록」을 통해 본 「유연전」과 유연 옥사 담론
- <동명왕편(東明王篇)>의 서술 체계와 인물 형상
- 통속문화의 맥락에서 접근한 고전소설 교육의 방향
- 「안제본기(雁帝本紀)」의 일고찰
- 무사사회의 도덕규범
- 의상과 균여의 법맥과 <법성게(法性偈)>의 시적 역할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 ‘밈(meme)’을 활용한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상호 협력과 융복합교육
- 연구 동향 분석을 통해 본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연구의 실태와 제언
- 한국어 쓰기 전략 교육을 위한 생성형 AI 활용 연구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 『明美堂集』편찬 과정과 耕齋 李建昇의 역할 - 『海耕堂收草』에 수록된 서독문을 중심으로
- 11세기 후반-13세기 전반 高麗 古文脈의 구성과 高麗 中期 試論
- 11~15세기 동아시아의 公案禪 확산과 詩文의 성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