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 중고령자의 은퇴와 건강 관계에 관한 연구
이용수 365
- 영문명
- The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Retirement and Health among Korean Middle-aged and Older Adults
- 발행기관
- 중앙사회복지연구회
- 저자명
- 김범중(Kim, Bum Jung) 고성현(Ko, Sung Hyun)
- 간행물 정보
- 『사회와 복지』사회와 복지 제2호, 23~45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12.31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중·고령자의 은퇴와 건강의 관계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고령화연구패널조사 자료를 사용하였으며 은퇴와 건강 간의 연관관계를 검증하기 위하여 성향점수매칭을 통하여 자료를 매칭한 후,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은퇴와 건강의 관계를 검증한 결과, 은퇴가 건강에 미치는 영향은 은퇴의 유형에 따라 상이하게 나타났다. 은퇴자는 비은퇴자에 비해서 많은 만성질환 수, 높은 우울, 낮은 인지수준, 높은 사회참여와 유의한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특수직 은퇴자는 일반직 은퇴자에 비해서 높은 인지적 수준, 높은 사회활동 수준과 통계적 유의성을 보였다. 본 연구는 은퇴가 중고령자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또한 특수직 은퇴자와 일반직 은퇴자와의 관계를 분석함으로써 공적연금의 강화와 다층노후소득보장체계 구축의 필요성을 강조하고자 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retirement and health among Korean middle-aged and older adults. To this end, the propensity score matching was conducted on 10,254 people and overusing the data from the 2014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ing. Afterward, Ordinary Least Squares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he matching group is the retirement status and pre-retirement job, respectively. In the regression model,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retirement and health in the state of controlling the covariate, the relationship was different depending on the type of retirement. Retirement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a higher number of chronic diseases, higher depression, lower cognitive level, and higher social participation than non-retired persons. Also, special-job workers retirement showed a higher cognitive level, and higher social activity and statistical significance than general retirees.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d the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retirement and health by examining the retirement types among Korean middle-aged and older adults. In addition, by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tirees of special-job workers who retire in a relatively stable state and the retirees of general workers who are relatively unstable, the need to strengthen the public pension and establish a multi-class retirement income guarantee system was to be emphasized.
목차
Ⅰ. 서론
Ⅱ. 문헌연구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 사회복지의 법적 실천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코로나19로 인한 일상생활의 변화가 코로나블루에 미치는 영향
- 한국과 미국의 사회복지 윤리강령 비교연구 : 비밀보장, 이중관계, 문화적 다양성, 결함이 있는 동료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사회복지상담과 불교철학의 융합 가능성 :이론·실천의 통합을 위한 개입 모형 제안
- 사회복지사의 소명의식이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조직지원인식의 조절효과
- 정신장애인을 위한 정신건강 증진접근의 개념화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