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인공와우 사용 청각장애인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 장애특성, 의사소통 대처전략, 사회적 지지를 중심으로
이용수 606
- 영문명
- The quality of life in deaf people with cochlear implant : Characteristic of Disability, Communication Strategies and Social Support
- 발행기관
- 한국장애인복지학회
- 저자명
- 고혜정(Hye Jung Ko) 김경미(Kyung Mee Kim)
- 간행물 정보
- 『한국장애인복지학』제50호, 61~83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12.31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인공와우를 한 청각장애인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인공와우 시술 경험이 있는 청각장애인 16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다. 종속변수는 삶의 질을 설정하였으며, 독립변수는 인공와우 착용기간과 언어치료 및 청능훈련 기간, 의사소통 대처전략, 부모 지지, 건청인 지지였다.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부모 지지와 건청인 지지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즉, 부모 지지와 건청인 지지가 높을수록 삶의 질이 향상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를 기반으로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factors to have an effect on the quality of life of deaf people with cochlear implants. There were 163 deaf people who had gotten surgery for cochlear implants for this study. The independent variable is a duration of cochlear implant use, the period of speech therapy and auditory training, communication strategies, parent support and hearing people support. The dependent variable is the quality of life of deaf people with cochlear implants. To examine the important factors to have an effect on quality of life was estimated by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es The result shows that parent support and hearing people s support have the positive influence on the quality of life. That is to say, the higher parent support and hearing people s support are, the higher the quality of deaf people with cochlear implant is. It suggests several implications on the result.
목차
1. 서 론
2. 문헌고찰
3. 연구방법
4. 연구결과
5.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정신적장애인의 경제활동참여가 자기효능감과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차별경험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정신건강의 어려움을 가진 공공임대주택 거주자들의 삶과 지원 경험 연구 : SH 찾아가는 마음건강 서비스를 중심으로
- 장애인복지관 실무자를 위한 발달장애인의 자기결정 평가척도 개발 연구
- 장애인복지관에서의 발달장애인 지원의사결정(Supported Decision Making) 경험
- 탈시설 이후 지적장애여성의 지역사회 이주 경로에 관한 연구
- 발달장애인 자조모임 조력자 경험 연구
- 인공와우 사용 청각장애인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 장애특성, 의사소통 대처전략, 사회적 지지를 중심으로
- 중도 척수장애인의 사회참여 과정에서 이동성의 경험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
- 주간재활시설의 정신장애인 독립주거지원 초기 과정에 관한 질적 연구 : 관악 한울지역정신건강센터 “지역사회 적소(Niche) 만들기” 사례를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 사회복지의 법적 실천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코로나19로 인한 일상생활의 변화가 코로나블루에 미치는 영향
- 한국과 미국의 사회복지 윤리강령 비교연구 : 비밀보장, 이중관계, 문화적 다양성, 결함이 있는 동료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한국케어매니지먼트 연구 제55호 목차
- 노인의 자원봉사활동동기 및 가족건강성이 긍정노후인식에 미치는 영향 : 욕구충족도의 조절된 매개효과
- 만성질환 노인의 돌봄 수혜경험 : 요양보호사 돌봄서비스 이용자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