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장애인복지관에서의 발달장애인 지원의사결정(Supported Decision Making) 경험
이용수 477
- 영문명
- Supported Decision Making Experiences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Rehabilitation Center
- 발행기관
- 한국장애인복지학회
- 저자명
- 김미옥(Kim, Mi Ok) 박지혜(Park, Ji Hae) 정민아(Jung, Min Ah)
- 간행물 정보
- 『한국장애인복지학』제50호, 169~197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12.31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질적 사례연구 방법을 활용하여 장애인복지관 발달장애인의 지원의사결정 경험을 탐색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아직 현장에서 지원의사결정에 대해 정확히 개념적으로 정의하지는 않고 있으나, 지원의사결정은 이미 적용되고 있었다.그럼에도 불구하고, 지원의사결정에 대한 충분한 이해와 적용성은 여전히 부족한 현실도 드러났다. 발달장애인의 지원의사결정과 관련하여, 주요 연구결과는 첫째, 발달장애인 권리를 제대로 존중하지 않은 현실 인지, 선호와 욕구가 있는 보통사람으로의 자각의 중요성이 제시되었다. 이러한 반성을 통하여 발달장애인의 의사결정능력에 대한 경계의 모호성, 상호 평등한 관계형성의 어려움, 명확한 의사파악을 위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쉽지 않은 현실적 어려움을 토로하였다. 한편, 조직차원에서는 지원의사결정을 위한 것은 아니나 장애인복지의 패러다임 변화에 따른 조직구조의 변화와 학습조직 전환의 혁신을 모색하고 있었다. 둘째, 발달장애인의 지원의사결정이 도입되기 위해 고려되어야 할 쟁점들이 드러났다. 구체적으로, “지원의사결정의 중심에 당사자가 있는가? 지원자의 위치와 역할은 적절한가? 지원의사결정에 대해 충분히 아는가? 정말 당사자에게 최선의 이익인가? 지원의사결정의 경계는 어디인가?”에 대한 다섯 가지 쟁점들이 도출되었다. 이를 기초로 우리나라에서 발달장애인 지원의사결정제도 도입과 관련된 논의 및 함의를 제시하고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service providers’ experiences of supported decision making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 results of qualitative case study showed that supported decision making has been practiced, although the understanding of supported decision making were scant. First, the research results found that the right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as less exercised and the importance of recognizing them as general people with preferences and needs was accepted. Moreover, service agency has tried to make organizational changes and innovations to transfer it to learning organization, although it was not only for supported decision making. Second, some issues to be considered are identified as follows: who plays the main role, to what extent supporters’ roles and positions are appropriate, how well they knows supported decision making, what means by the best interest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how to draw a borderline of supported decision making.
Based on research findings, the article suggested the necessity of introducing and developing ‘Supported Decision Making’ practice and implications for future policies and programs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service fields.
목차
Ⅰ. 연구 필요성
Ⅱ. 문헌고찰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정신적장애인의 경제활동참여가 자기효능감과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차별경험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정신건강의 어려움을 가진 공공임대주택 거주자들의 삶과 지원 경험 연구 : SH 찾아가는 마음건강 서비스를 중심으로
- 장애인복지관 실무자를 위한 발달장애인의 자기결정 평가척도 개발 연구
- 장애인복지관에서의 발달장애인 지원의사결정(Supported Decision Making) 경험
- 탈시설 이후 지적장애여성의 지역사회 이주 경로에 관한 연구
- 발달장애인 자조모임 조력자 경험 연구
- 인공와우 사용 청각장애인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 장애특성, 의사소통 대처전략, 사회적 지지를 중심으로
- 중도 척수장애인의 사회참여 과정에서 이동성의 경험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
- 주간재활시설의 정신장애인 독립주거지원 초기 과정에 관한 질적 연구 : 관악 한울지역정신건강센터 “지역사회 적소(Niche) 만들기” 사례를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 사회복지의 법적 실천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코로나19로 인한 일상생활의 변화가 코로나블루에 미치는 영향
- 한국과 미국의 사회복지 윤리강령 비교연구 : 비밀보장, 이중관계, 문화적 다양성, 결함이 있는 동료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한국케어매니지먼트 연구 제55호 목차
- 노인의 자원봉사활동동기 및 가족건강성이 긍정노후인식에 미치는 영향 : 욕구충족도의 조절된 매개효과
- 만성질환 노인의 돌봄 수혜경험 : 요양보호사 돌봄서비스 이용자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