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정신적장애인의 경제활동참여가 자기효능감과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차별경험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이용수  833

영문명
The Effects of Economic Activities on the Self-Efficiency and Life Satisfaction of the Mental Disability Based on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Discrimination Experience
발행기관
한국장애인복지학회
저자명
조재환(Cho, Jae-Hwan)
간행물 정보
『한국장애인복지학』제50호, 117~142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12.31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정신적장애인의 경제활동참여가 자기효능감과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하고 자기효능감이 경제활동참여와 삶의 만족도 사이를 매개하는 효과가 차별경험의 수준에 따라 그 크기가 달라지는지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조절효과분석과 매개효과분석 그리고 이들을 결합한 조절된 매개효과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대상은 장애인 고용패널조사 2차 웨이브 3차 조사(2018년) 자료 가운데 정신적 장애를 가지고 있는 장애인 562명이다. 주요 연구결과를 보면 첫째, 정신적장애인의 자기효능감은 경제활동참여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부분적으로 매개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차별경험은 경제활동참여와 자기효능감의 정적인 관계를 조절하는 효과를 보였다. 셋째, 정신적장애인의 차별경험은 경제활동참여가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하여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조절된 매개효과를 보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정신적장애인의 자기효능감과 삶의 만족도를 높이는데 있어서 차별경험이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함을 확인할 수 있었고 정신적장애인의 정신건강을 높이기 위한 실천적 방안을 모색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impact of participation in economic activities of mentally disabled people on their own self-effectiveness and satisfaction in life and to analyze whether the effect of the self-effectiveness mediating between participation in economic activities and satisfaction in life depends on the level of discrimination experience. For this purpose, a controlled effect analysis, a mediated effect analysis, and a combined Moderated mediating effect analysis were conducted. The analysis targets 562 people with mental disabilities out of the second wave of employment panel survey (2018). According to major research results, the self-efficacy of the mentally disabled has the effect of partially mediating the impact of participation in economic activities on life satisfaction. Second, the experience of discrimination showed the effect of controlling the static relationship between participation in economic activities and self-efficacy. Third, the experience of discrimination against the mentally handicapped showed a mediated effect on the impact of participation in economic activities on the satisfaction of life through self-efficacy. Based on these findings, it was confirmed that discrimination experience should be dealt with importantly in enhancing the self-efficacy and life satisfaction of the mentally disabled, and practical measures were sought to enhance the mental health of the mentally disabled.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방법
4. 연구결과
5. 논의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조재환(Cho, Jae-Hwan). (2020).정신적장애인의 경제활동참여가 자기효능감과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차별경험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장애인복지학, (50), 117-142

MLA

조재환(Cho, Jae-Hwan). "정신적장애인의 경제활동참여가 자기효능감과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차별경험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장애인복지학, .50(2020): 117-14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