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장애인복지관 실무자를 위한 발달장애인의 자기결정 평가척도 개발 연구
이용수 496
- 영문명
- Scale Development and Validation for Self-determination and Choice of Person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 Assessment Tool for the Professionals in Welfare Center
- 발행기관
- 한국장애인복지학회
- 저자명
- 신은경(Shin, Eun Kyoung) 김동기(Kim, Dong Ki) 이웅(Lee, Woong) 손다진(Son, Da Jin)
- 간행물 정보
- 『한국장애인복지학』제50호, 199~220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12.31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장애인복지관 실무자들이 사용할 수 있는 발달장애인의 자기결정 평가 척도를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먼저, 발달장애인 부모 6명, 그리고 10년 이상의 실무경험이 있는 장애인복지 전문가 6명을 대상으로 각각 2회 씩 총 4회 실시한 초점집단인터뷰 결과 및 선행연구 검토를 종합하여 구성요인 및 예비문항을 설정하였다. 이어서 발달장애인 부모 6명, 현장 전문가 6명, 장애인복지학계 4명 등 총 14명을 대상으로 예비문항에 대한 내용타당도를 검증하였다. 마지막으로 전국 장애인복지관에서 발달장애인에게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사회복지사 9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본 연구에서 최종 개발된 발달장애인의 자기결정 평가척도는 맥락적 자기통제, 자아효능감, 자기이해, 권리인식 등 총 4개 요인 18문항으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는 발달장애인의 자기결정 수준과 양상에 대한 보다 정확한 파악이 가능해질 수 있다는 실천적 함의와 사회적 모델의 핵심 개념 중 하나인 장애인의 자기결정을 측정 가능한 수준으로 이끌어냈다는 점에서 학문적 함의를 갖는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self-determination assessment scale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at can be used by practitioners in the disabled welfare center. For this purpose, the components and preliminary questions were set up by compiling the results of a total of four focus group interviews conducted twice each for six par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six experts in the field of welfare for the disabled with more than 10 years of practical experience, and prior research reviews. Subsequently, the validity of the preliminary questions was tested by 16 people, including 6 par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6 field experts, and 4 researchers in the field of welfare for the disabled. Finally, a survey was conducted on 900 social workers who are providing services to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t welfare centers for the disabl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final self-determination assessment scale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as developed consisting of 18 questions with 4 sub-dimensions: contextual self-regulation, self-efficacy, self-understanding, and recognition of rights. This article provides academic implications that it made the self-determination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one of the key concepts of social models, to a measurable level, and practical implications that more accurate understanding of self-determination level and aspect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can be made.
목차
1. 서 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방법
4. 연구결과
5. 결론 및 논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정신적장애인의 경제활동참여가 자기효능감과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차별경험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정신건강의 어려움을 가진 공공임대주택 거주자들의 삶과 지원 경험 연구 : SH 찾아가는 마음건강 서비스를 중심으로
- 장애인복지관 실무자를 위한 발달장애인의 자기결정 평가척도 개발 연구
- 장애인복지관에서의 발달장애인 지원의사결정(Supported Decision Making) 경험
- 탈시설 이후 지적장애여성의 지역사회 이주 경로에 관한 연구
- 발달장애인 자조모임 조력자 경험 연구
- 인공와우 사용 청각장애인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 장애특성, 의사소통 대처전략, 사회적 지지를 중심으로
- 중도 척수장애인의 사회참여 과정에서 이동성의 경험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
- 주간재활시설의 정신장애인 독립주거지원 초기 과정에 관한 질적 연구 : 관악 한울지역정신건강센터 “지역사회 적소(Niche) 만들기” 사례를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 사회복지의 법적 실천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코로나19로 인한 일상생활의 변화가 코로나블루에 미치는 영향
- 한국과 미국의 사회복지 윤리강령 비교연구 : 비밀보장, 이중관계, 문화적 다양성, 결함이 있는 동료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한국케어매니지먼트 연구 제55호 목차
- 노인의 자원봉사활동동기 및 가족건강성이 긍정노후인식에 미치는 영향 : 욕구충족도의 조절된 매개효과
- 만성질환 노인의 돌봄 수혜경험 : 요양보호사 돌봄서비스 이용자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