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美术馆公共教育在中国大陆的兴起
이용수 74
- 영문명
- Public Education in Art Museum of Chinese Continent
- 발행기관
- 한국박물관교육학회
- 저자명
- 양응시(Yang, YingShi)(杨 应 时 )
- 간행물 정보
- 『박물관교육연구』제24호, 81~103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12.31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중국에서 미술관은 공공 문화 서비스의 중요한 플랫폼으로서 국민의 자질 향상, 창조정신 증진, 문화적 자신감 증진, 문화 교류 증진 등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미술관 공교육은 미술관(박물관, 도서관, 문화관, 과학기술관 등 기타 공공문화시설로 분립)의 공공성과 공익성을 기본 속성으로 제공하는 대중 교육서비스를 강조한 것이다. 미술관은 대중 교육의 사명을 더욱 잘 짊어지고 공교육 자원을 활성화하며 전문 분야로의 혁신을 모색해야 한다. 미술관 공교육은 관람객 연구의 토대 위에서 서로 다른 사람들의 수요에 따라 차별화 교육을 진행해야 한다. 중국 미술관 공교육은 신시대를 지향하여 대중교육의 중요한 구성부분으로서 더욱 개방적이고 적극적인 자세로 새로운 발전을 도모하고 사회의 수요에 부응해야 한다.
영문 초록
Art museums in China had an great roles in people’s education, creative mind, cultural confidence, cultural exchange as a public culture service platform. The nature of public education in art museums is publicity and public interest and art museums emphasized public education services. Art museums should respond the public education missions and invigorate the public education assets. And also should find the innovation for professional sectors. The public education in art museums should provide different education service for the different people in the academic bases. The public education in art museums should aim the new era and should be more open and meet for social needs.
목차
一、美术馆公共教育在中国大陆兴起的社会历史情境
二、美术馆公共教育专业领域在中国大陆的形成发展
三、 反思与前瞻:面向新时代的美术馆公共教育
参考文献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그림책 속 할아버지의 의미 분석
- 그림책의 글 텍스트 유무에 따른 4, 5세 유아의 읽기 반응 연구 -Mark Janssen의「Island」작품을 중심으로-
- 대화식 그림책 읽기를 통한 엄마와 만 2세 영아의 상호작용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