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국판 성격평가질문지의 요인 구조

이용수  142

영문명
Factor Structure of the Korean Personality Assessment Inventory (PAI)
발행기관
한국심리치료학회
저자명
윤서형(Seo-hyung Yoon) 이은호(Eun-Ho Lee) 김지혜(Ji-Hae Kim) 홍상황(Sang-Hwang Hong) 황순택(Soon-Taeg Hwang) 권해수(Ha
간행물 정보
『한국심리치료학회지』제12권 제2호, 1~14쪽, 전체 1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심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10.31
4,4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성격평가질문지(Personality Assessment Inventory; PAI)는 성격 및 정신병리를 측정하기 위한 자기보고식 설문지로, 심리적 증상 뿐만 아니라 대인관계 문제, 치료에 대한 태도, 공격성 등 임상 장면에서 중요한 정보를 제공한다는 강점이 있다. PAI의 임상적 유용성이 증가됨에 따라 PAI의 요인 구조를 확인하기 위한 연구도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연구마다 표본이나 분석 방법의 차이로 인해 요인의 개수나 속성에 있어서 차이가 보고되었으며, 비일관적인 결과가 존재한다. 본 연구에서는 재표준화된 한국판 PAI의 성인 표준화집단을 대상으로 PAI 전체 척도의 요인 구조를 확인하였다. PAI의 22개 척도에 대해 평행 분석과 탐색적 요인 분석을 실시한 결과, (1) 전반적인 심리적 불편감, (2) 약물관련 문제, (3) 행동화 경향 및 대인관계 문제의 3요인 구조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적합도가 좋지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e Personality Assessment Inventory (PAI) is one of the most widely used self-report measures that assess personality and psychopathology. The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PAI were broadly investigated including its reliability and validity. Previous literature that explored the factor structure of the PAI has revealed inconsistent results. The factor structures found in the previous studies were different in the number of factors or components, which results from the characteristics of the sample and methodological issues. The present study aimed to explore the factor structure of the revised version of the Korean PAI through exploratory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es. The total sample comprised 1,279 Korean adults collected from the project to develop the restandardized Korean version of the PAI. The revised version of the Korean PAI was administered in Korean adult population. Parallel analysis revealed that a 3-factor solution is appropriate for 22 PAI full scales. The result of exploratory factor analysis generated 3 oblique dimensions, which consist of (a) general psychological distress, (b) drug-related problem (c) tendency to act out and interpersonal problem. However, the fit indices of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ere poor. The components of the 3-factor structure are generally in line with the results of previous literature except the component representing drug-related problem. Our findings provided support to the applicability of the restandardized version of the PAI in the Korean population and contributed to enhancing confidence regarding the construct validity of the PAI.

목차

서 론
방 법
결 과
논 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윤서형(Seo-hyung Yoon),이은호(Eun-Ho Lee),김지혜(Ji-Hae Kim),홍상황(Sang-Hwang Hong),황순택(Soon-Taeg Hwang),권해수(Ha. (2020).한국판 성격평가질문지의 요인 구조. 한국심리치료학회지, 12 (2), 1-14

MLA

윤서형(Seo-hyung Yoon),이은호(Eun-Ho Lee),김지혜(Ji-Hae Kim),홍상황(Sang-Hwang Hong),황순택(Soon-Taeg Hwang),권해수(Ha. "한국판 성격평가질문지의 요인 구조." 한국심리치료학회지, 12.2(2020): 1-1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