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기독교인의 외재적 종교성향과 내재적 종교적 성향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 정신화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이용수 203
- 영문명
- The Effects of Christians’ External Religious Orientation and Intrinsic Religious Orientation on Depression: Focusing on Mediation Effect of Mentalization
- 발행기관
- 한국심리치료학회
- 저자명
- 김옥길(Ok Gil Kim) 박재우(Jae Woo Park)
- 간행물 정보
- 『한국심리치료학회지』제12권 제2호, 15~31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10.31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종교성향이 인간의 부정적 변인 중 하나인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 것이다. 개인이 종교에 대해 가지는 동기와 태도에 의해 구분되는 외재적 종교성향과 내재적 종교성향을 각각 독립변인으로 설정하였다. 또 최근 심리적 보호요인으로 부각되는 정신화(mentalization)를 매개변인으로 설정하여 우울에 미치는 경로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 16개 도시의 20대에서 50대에 이르는 성인남녀 400명이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연구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기술통계방법을 사용하였고, 종교성향과 우울, 정신화의 관계를 검증하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정신화의 매개여부를 알아보기 위해 구조방정식모형을 검증하여 경로계수를 산출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외재적 종교성향은 우울에 직접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둘째,내재적 종교성향은 우울에 부적 영향을 미쳤다. 즉 성숙한 종교성향인 내재적 종교성향은 우울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한다. 셋 째. 매개효과검증 결과, 내재적 종교성향이 정신화를 거치지 않고 우울에 직접 부적 상관을 맺음으로써 이를 매개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외재적 종교성향은 정신화와 부적 상관을 맺고, 정신화 역시 우울과 부적 상관을 맺고 있음을 확일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종교성향과 정신화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최초의 연구라는 점과 외재적 종교성향, 내재적 종교성향이라는 독립변인을 설정하여 종교성향을 폭넓게 파악하는데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religious orientation on depression, one of the negative variables in humans. Intrinsic religious inclinations, which are distinguished by the motives and attitudes that individuals have toward religion, are set as independent variables. In addition, this study examined the path to depression by setting mentalization as a mediator as a psychological protective factor. To this end, 400 adult men and women in their 20s and 50s in 16 cities participated in the study. Descriptive statistical methods were used to examine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subjects,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ve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religious orientation, depression, and mentalization,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mediation of mentalization. The path coefficient was calculated by verifica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extrinsic religious orientation does not directly affect depression. Second, intrinsic religious orientation had a negative effect on depression. In other words, intrinsic religious
orientation, which is a mature religious orientation, plays a role in reducing depression. Third, it was found that the intrinsic religious tendency did not go through mentalization and did not mediate it by directly negatively correlating to depression. This study is the first study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religious status and mentalization, and it is meaningful to set out independent variables such as external religious tendency and intrinsic religious tendency to broadly grasp the religious tendency in psychological counseling.
목차
서 론
방 법
결 과
논 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범죄인가 범죄화인가: 반(反)이민 프레임의 정치성과 한국의 과제
- 경찰공무원의 범죄피해 두려움 공감성이 폭력피해 경험에 미치는 영향: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중심으로
- 하이브리드 위협으로서 인지전 개념에 관한 논의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