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어린이집의 창의적 역량이 어린이집 교사의 조직몰입 및 교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476
- 영문명
- The Effect of Childcare Center’s Creative Competence on Childcare Teacher’s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eaching Creativity
- 발행기관
- 한국부모교육학회
- 저자명
- 김정란(Kim, Jeongran)
- 간행물 정보
- 『부모교육연구』제17권 제2호, 5~24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6.30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어린이집 교사들을 대상으로 어린이집의 창의적 역량과 어린이집 교사의 조직몰입 그리고 교수 창의성 간의 상관을 살펴보고, 이들 변인들 간의 영향력을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과 경기도 지역의 53개의 어린이집 교사 363명이다. 본 연구에서 수집한 자료는 SPSS WIN 18.0 프로그램을 통해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로는 첫째, 어린이집의 창의적 역량과 교사의 조직몰입 변인 간에는 모두 유의미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어린이집의 창의적 역량을 독립변인으로 하고 어린이집 교사의 조직몰입을 종속변인으로 하는 다중회귀분석결과, 조직몰입의 세 가지 차원에 창의적 역량의 하위차원인 리더십은 모두 유의하였으나, 다양성은 규범적 몰입과 조직몰입 총합에서만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셋째, 어린이집의 창의적 역량과 어린이집 교사의 교수 창의성 변인 간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인지적 영역 및 인성적 영역에서 모두 의미 있는 정적인 상관관계를 확인하였다. 넷째, 어린이집의 창의적 역량을 독립변인으로 하고 어린이집 교사의 교수 창의성을 종속변인으로 하는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다양성과 자율성이 유의한 영향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어린이집 영유아들에게 양질의 보육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어린이집 원장의 리더십과 교사들의 자율성과 다양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창의적 환경 조성에 매진할 필요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oles of childcare centers and childcare teachers, thus contributing to the improvement of childcare teacher’s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eaching creativity and providing basic data on the development of childcare. For the study, the data of 363 respondents were finally used in study analysis, except insincere responses.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WIN 18.0 program. Stud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as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care center’s creative
competence and childcare teacher’s organizational commitment, all the sub-variables of childcare center’s creative competence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childcare teacher’s organizational commitment. Second, carried out after establishing childcare center’s creative competence as an independent variable and childcare teacher’s organizational commitment as a dependent variable, presented that leadership, a sub-variable of creative competence, had significant effect on the 3 sub-variables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Third, regar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care center’s creative competence and childcare teacher’s teaching creativity, there were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s in the cognitive area and the personality area. Fourth, the result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carried out after establishing childcare center’s creative competence as an independent variable and childcare teacher’s teaching creativity as a dependent variable, presented that diversity and autonomy has significant effect, whereas leadership’s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not confirmed.
목차
I.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확장학습이론에 관한 문헌 분석: 국내 문헌을 중심으로
- 대학 강의평가 문항 개선 및 타당화 연구: A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 교수자 개인 요인이 강의평가에 미치는 영향: D대학 강의평가 사례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