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유아교육기관의 팀티칭 운영에 관한 예비유아교사의 인식
이용수 244
- 영문명
- Th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 of Team Teaching in Child Education Institutes
- 발행기관
- 한국부모교육학회
- 저자명
- 이윤정(Lee, Youn Jung)
- 간행물 정보
- 『부모교육연구』제17권 제2호, 41~57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6.30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들에게 팀티칭의 의미와 필요성, 팀티칭의 효과, 팀티칭 운영에 관한 인식을 알아보는 것으로서 4·3년제 유아교육학과, 보육교사 교육원, 사이버 대학의 예비유아교사 499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빈도분석, 카이자승검증, ANOVA, Dunnett T3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 결과로는 첫째, 팀티칭 실행이 필요한 이유는 ‘교사들의 협력으로 수업 계획 및 실행과 평가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가 가장 높았으며, 팀티칭을 실시하는 목적은 ‘교사 간의 능력· 경험의 차이를 보완’하기 위한 것이라고 인식하였다. 둘째, 팀티칭 반운영에 있어서는 ‘교사간의 장점을 살려 다양한 활동 제공’을 가장 높게 나타났다. 팀티칭의 협력관계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서는 ‘교사 간의 영유아에 대한 의사소통 증가’를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팀티칭의 참여여부를 결정하는 주체에 대하여서는 ‘교사들 간의 회의’를 통해 결정해야 한다고 응답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aning and need, effect and management of team teaching, and the perception of team teaching among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subjects were 499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of 4-3year college program, 1-year child care education center, and cyber universities. The
data collected in this study were analyzed by frequency analysis, chi-square test, ANOVA, and Dunnett T3.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reason why team teaching is needed is that the plan, execution and evaluation of class can be done effectively through the cooperation of teachers . The purpose of team teaching is to complement the difference between teachers abilities and experiences . Second, in the case of team teaching class operation, providing various activities by taking advantage of teachers was the highest. As for the effect of team teaching on cooperative relationship, increased communication between teachers about infants and young children was recognized as important. Third, the subjects who decide whether to participate in team teaching should be decided through the meeting between teachers .
목차
I.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논의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확장학습이론에 관한 문헌 분석: 국내 문헌을 중심으로
- 대학 강의평가 문항 개선 및 타당화 연구: A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 교수자 개인 요인이 강의평가에 미치는 영향: D대학 강의평가 사례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