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비서직 종사자가 지각하는 조직지원인식과 조직시민행동 간의 관계에서 직무열의의 매개효과 검증
이용수 337
- 영문명
- The Mediating Effect of Job Engagemen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Support Perception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of Secretarial Workers
- 발행기관
- 한국성인교육학회
- 저자명
- 박선아(Suna Park) 전주성(JuSung Jun)
- 간행물 정보
- 『Andragogy Today』제23권 제2호, 57~78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5.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비서직 종사자가 지각하는 조직지원인식과 조직시민행동, 직무열의 간의 관계를 알아보고, 조직지원인식과 조직시민행동 간의 관계에서 직무열의가 어떤 매개효과를 보이는지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재직 중인 219명의 비서직 종사자를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을 이용한 매개효과 검증방법인 Hayes(2013)의 PROCESS macro(Model=4)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첫째, 비서직 종사자가 지각하는 조직지원인식과 조직시민행동, 직무열의 간에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둘째, 비서직 종사자가 지각하는 조직지원인식과 조직시민행동의 관계에서 직무열의는 부분 매개효과를 보였다. 이는 조직의 지원을 인지한 비서직 종사자가 직접적으로 조직시민행동을 보일 뿐만 아니라 직무열의가 높아지면 조직시민행동을 보일 가능성이 더욱 높아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비서직 종사자의 조직시민행동을 높이기 위해서는 직무열의를 제고하는 것이 인적자원관리 측면에서 중요하며, 이를 북돋을 수 있는 조직지원과 교육훈련 차원의 개입 필요성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support percepti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nd job engagement perceived by secretarial workers, an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job engagemen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support perception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For this purpose, data were collected from 219 secretarial workers,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PROCESS macro (Model=4) of Hayes (2013), a mediating effect verification method using bootstrapping. The main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organizational support percepti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nd job engagement. Second, job engagement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support perception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The results of the above study suggest the need for intervention at the level of education and training that can boost job engagement in order to improve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of secretarial worker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V. 결론 및 시사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Journal of Education and Teaching Vol.3 No.7 Contents
- 自我教育期望对智慧课堂学习投入的影响:以意向性自我调节为中介
- 应用型高校的教育家精神:传统根源与当代创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