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중·장년기 그룹 자서전쓰기 참여자의 경험학습에 관한 의미 연구

이용수  584

영문명
A Study on the Meaning of Experience Learning of Participants in Group Autobiography in Middle Aged
발행기관
한국성인교육학회
저자명
김일규(Il-gyou Kim) 정승일(Seung-IL Chung)
간행물 정보
『Andragogy Today』제23권 제2호, 107~131쪽, 전체 2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05.30
5,8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그룹 자서전 쓰기에 참여한 중․장년기의 경험학습의 의미를 밝히고, 그룹 자서전쓰기가 자서전 쓰기 및 평생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해 참여자들의 심층면담과 그들이 작성한 자서전 자료를 분석하였으며, 콜브(Kolb, 1984)의 경험학습 모형을 통해 그룹 자서전 쓰기 과정을 살펴보았다. 연구결과는 첫째, 경험학습의 첫 번째 단계인 구체적 경험에서 ‘회상 활동: 마중물 붓기’, ‘서로 배우기’, ‘세대 간 소통’을 경험하였다. 둘째, 성찰적 관찰 측면에서는 ‘과거 경험에 대한 성찰’, ‘경험을 사회적 맥락에서 성찰: 역사와 문화속의 나’, ‘자서전 쓰기에 대한 성찰: 아름다운 구속’으로 나타났다. 셋째, 추상적 개념화 단계에서는 ‘자아수용’, ‘자기표현‘, ‘주변인과의 관계회복’, ‘자서전 쓰기의 개념화: 돌아봄․바라봄․내다봄’으로 인식하였다. 넷째, ‘적극적 실험’에서는 직업적 전략 모색에 의한 인생이모작 설계와 자기개발에 관심을 두고 자신의 삶을 적극적으로 서사화해 나갔다. 또한 경험학습 과정을 통해 부모님도 한 인간으로서 독립적인 인격체임을 깨닫고 효를 적극적으로 실천하기 시작하였다. 이상 중․장년기 그룹 자서전 쓰기 경험학습의 여러 의미를 통해 자서전 쓰기가 중․장년기에 있어 매우 유용한 평생교육 프로그램임을 발견할 수 있었다. 또한 그룹 자서전 쓰기를 응용하여 세대 간 소통, 인문학, 재소자 교화 프로그램 등 다양한 평생교육 프로그램으로 확장, 개발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시사해 주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clarify the meaning of experiential learning of middle-aged, who participated in group autobiography writing and to deduce implications for group autobiography writing and lifelong education.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group autobiography writing process has been reviewed through the experiential learning theory of Kolb (Kolb 1984). The conclusion of study is as follows; First, in the first step of experiential learning, The concrete experience, the ‘recalling activity’, ‘Priming the Pump’, ‘Learning among the group’ and ‘communications between generations.’ Second, in view of reflection observation, it was found that ‘reflecting on past experiences’, ‘reflection on experiences in social context: me in history and culture’ and reflecting on the way of writing autobiography.’ Third, in the conceptualization stage of abstractions, they have recognized the autography writing as ‘Self-acceptance’, ‘Self-expression’, ‘relation recovery with people surrounding them.’and ‘Generalize the autography writing: retrospect, looking the circumstance and expectation’. Fourth, in the experimental experiments, they actively narratives of his personal life focusing on self-development and second life design based on finding a professional strategy. In addition, they has realized that their parents are independent personalities as a human being and began to “HYO”(in Korean word meaning filial piety). Through the various meanings of the group autobiography writing experience learning, it was found that autobiography writing is a very useful lifelong education program for middle ages. On the other hands, It has found that the group autobiography writing can be a tool for development of variety of lifelong learning such as ‘inter-generation communication’, ‘humanities’ and ‘Inmate correction’.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일규(Il-gyou Kim),정승일(Seung-IL Chung). (2020).중·장년기 그룹 자서전쓰기 참여자의 경험학습에 관한 의미 연구. Andragogy Today, 23 (2), 107-131

MLA

김일규(Il-gyou Kim),정승일(Seung-IL Chung). "중·장년기 그룹 자서전쓰기 참여자의 경험학습에 관한 의미 연구." Andragogy Today, 23.2(2020): 107-13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