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참여정부에서의 직업교육훈련 중장기 발전 방향
이용수 9
- 영문명
- The Future Direction for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in the Participatory Government
- 발행기관
- 한국직업교육학회
- 저자명
- 강경종(Kang Gyeong Jong) 강종훈(Kang Jong Hun)
- 간행물 정보
- 『직업교육연구』제22권 제2호, 1~18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3.08.31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prim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make mid-long term directions for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in the Participatory Goverrument. For the objective of this study the related literatures were extensively reviewed in the governmental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policies.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ings: 1) The both of national long-term and short-term master plan should be established and put into action in order for operating policies of lifelong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2) The Government should establish an integration and mediation mechanism that can contribute to the actual operation of the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3) The control system of assessing the quality at a national level should be operated in order to evaluated results of performances of lifelong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4) The educational system should be built up for all citizen who want to participate in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5) In order to consolidate supports of the human and material resources, related funds should also be prepared to secure continuous financial supports.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영국의 직업교육 동향
- 전문대학 현장실습 모형 및 프로그램 개발
- Effects of Employer-Sponsored Training on Labor Productivity -Evidence from Taiwan`s Auto Parts Industry-
- 참여정부에서의 직업교육훈련 중장기 발전 방향
- 조직몰입과 직업몰입간의 갈등과 이직의도와의 관계에 대한 연구 -초,중등학교 교사집단을 중심으로-
- 지식기반 사회에 적합한 기술교사 양성 교육과정 재구성을 위한 기초연구
- 기업내 인적자원개발 촉진을 위한 사내자격 실태분석 및 개선방안
- 기계설계 기술자의 학습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공업고등학교 학생의 진로성공태도 측정도구 개발
- 참여정부의 직업훈련 정책과제와 발전방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대학생의 취업눈높이가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과 진로성숙도의 매개효과 분석
- 상관의 개발리더십과 육군 ROTC 단기복무 전역장교의 경력준비행동 간의 관계에서 자기주도학습능력의 매개효과 분석
- 프로티언 및 무경계 경력태도에 기초한 경력개발 유형 탐색: 유형별 정서적 조직몰입과 주관적 경력성공의 차이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